닫기
18.191.94.106
18.191.94.106
close menu
}
체험형 콘셉트 스토어 `폼므(POMME)` 브랜드 개발 전략 - F&B와 COSMETIC 브랜드 믹스를 중심으로 -
`POMME` Brand DevelopmentStrategy of The Experience Concept Store - Centering on Brand Mix ofF&B and Cosmetic -
김소현 ( Kim So-hyun ) , 임하영 ( Lim Ha-young ) , 이진민 ( Rhie Jin-min ) , 김태범 ( Kim Tae-bum ) , 신은별 ( Shin Eun-byul ) , 장미정 ( Jang Mi-jung )
UCI I410-ECN-0102-2018-600-000333094

오늘날 산업이 고도 성장기에 진입함에 따라 기업의 문화경쟁력을 창출하는 마케팅 전략의 방법으로 브랜드 믹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브랜드 믹스는 각 브랜드가 갖고 있는 자산을 이용하여 어느 한쪽으로만 이익이 편향되지 않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으로 진행되는 종합적 역학관계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믹스의 성공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브랜드를 표현하는 디자인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다. 브랜드 디자인은 충성 고객과 잠재 고객을 공유하기 때문에 그 중요도가 가중되며 브랜드 믹스에서 또한 필요성이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산업으로 떠오르는 f&b 영역과 시대의 변화와 유행에 민감한 코스메틱 영역에서 각각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브랜드를 제시한다. 또한 이를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브랜드 공간을 중심으로 제품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과 같은 디자인적 요소들을 통해 기존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며, 잠재적 고객 확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체험형 컨셉스토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Nowadays, as the industry enters high growth period, brand mix is being used in a way of marketing strategy that can create corporate culture competitiveness. Recent brand mixes are recognized as comprehensive dynamics relationships to brand communication in which profitsare not deflected only to one side, using the assets each brand possesses. Oneof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s of this brand mix is the strategic approach to design to express the brand. Brand design shares loyal customers and potential customers, so its importance is weighted and the need for brand mixes also increases.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by selecting each brand in the F &B area that emerges as an industry which raises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 cosmetic area that is sensitive to changes in the times and trends, and suggests a new brand based on this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propose a concept store that can maximize the potential customers and increase the loyalty of existing customers through design elements such as product design and graphic design, focusing on the brand space that implement analysis in three dimens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