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관계는 이미 글로벌·지역적·쌍무적 차원에서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전략적 협력과 경쟁이 일상화되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진입했으나, 상호 `전략적 불신`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양국관계의 진전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향후 미중관계는 중국이 제안한 `신형 대국관계(新型大國關係)`에 대한 미국의 호응 여부에 영향을 받겠지만, 지역별·사안별로 전략적 협력과 갈등, 그리고 `규범(norm) 경쟁`이 반복될 것이다. 양국의 경쟁과 갈등이 반 복 지속될 경우 우리의 전략적 선택을 제한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강대국정치가 한반도 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한반도 문제에 대한 우리의 주도적 역할을 강 화할 수 있는 전략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국가이익 우선의 원칙있는 외교, 한· 미·일 전략 소통, 한반도 문제에 대한 우리의 전략비전을 주변국에 선제적으로 제시, 한· 미·중 정책 공조 협의 채널 가동 등이 요구된다.
I410-ECN-0102-2018-300-00014529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접경지역통일연구 |
4권 2호 ~ 4권 2호 |
|
16권 2호 ~ 16권 2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Jpi 정책포럼 |
230권 0호 ~ 238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
16권 2호 ~ 16권 2호 |
|
39권 0호 ~ 39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
4권 6호 ~ 4권 6호 |
군사논단 |
104권 0호 ~ 104권 0호 |
|
19권 0호 ~ 19권 0호 |
|
10권 2호 ~ 10권 2호 |
|
10권 3호 ~ 10권 3호 |
|
32권 2호 ~ 32권 2호 |
|
8권 2호 ~ 8권 2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