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86
216.73.216.86
close menu
KCI 등재
문화예술인들의 집단적 이해대변 가능성 탐색: 작업장 노동조합주의를 넘어서
Searching for the Possibilities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of Artists and Cultural Workers: Beyond Workplace Unionism
권혜원 ( Kwon Heiwon ) , 권순원 ( Kwon Soonwon )
한국사회 17권 2호 77-116(40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496942

본 논문은 문화예술인들의 집단적 이해대변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우리나라 문화예술인들의 고용은 매우 불안정하고 단속적이며, 저임금과 낮은 복지혜택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화예술인들의 고용과 복지와 관련된 약한 제도적 장치와 이해대변의 공백은 이러한 조건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 문화예술인들의 자기 조직화 과정에 주목하고 이러한 운동 속에 내재되어 있는 새로운 이해대변 원리의 의미와 전망을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노사정이행협약을 통해 보여준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의 활동이 전통적인 작업장 노동조합주의(worksite unionism)를 넘어서서 외부노동시장 규제를 목표로 하는 오픈소스 노동조합주의(open source unionism)의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대안적 조직원리가 문화 예술 분야에서 태동하고 있는 유니온 운동의 벤치마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또한 전국영화산업노조와 문화예술 분야의 유니온들은 정치적 행동의 조직화 및 입법화 전략을 통해 제도개선을 추구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접근은 단체교섭의 효력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프리랜서와 비정규 노동자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대변 모델에 기초하여 전국영화산업 노동조합 및 예술인들의 다양한 유니온 조직들은 네트워크형 애드보커시(advocacy)조직으로서 사용자와 정부의 정책을 변화시키는 입법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ossibilities for collective representation of artists in Korea. High job insecurity is characteristic of creative work as workers and artists have short-term, intermittent jobs that are poorly paid with low benefits. Weak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employment protection of creative workers combined with lack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makes their working condition poorer. This articles pays attention to self organizing efforts of creative workers, and analyzes the dynamics and prospects of new alternative unionism in their movements. The tripartite agreement in Korean movie industry indicates a new form of open source unionism that is inherent in the strategy of the Federation of Korean Movie Workers`s Union(FKMWU), which is distinguished by its organizing and representing activities for both the union members and non-members, and by its emphasis on representing workers in the external labor market. This alternative form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can be the benchmark for the newly emerging quasi-unions in cultural industries. The FKMWU and those new unions also attempt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by engaging in political action. The approach is effective for freelances and contingent workers as the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these workers limit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based collective bargaining. Hence, in order to change employer and government policies, the FKMWU and other cultural `unions` should develop some form of pressure that could be an effective political lever for collective a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