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6.91.245
18.216.91.245
close menu
}
KCI 등재
부정성(Negativitat)과 차이(Differenz) ― 하이데거의 헤겔 철학 비판에 대한 고찰 ―
Negativity and Difference
이광모 ( Kwang-mo Lee )
헤겔연구 40권 229-253(25pages)
UCI I410-ECN-0102-2018-100-000498657

본 논문은 헤겔 철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을 고찰한다. 특히 이때 본 논문이 그 비판을 고찰하는 방법은 어떻게 하이데거가 헤겔 철학 내부에서 그 전제들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비판을 수행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헤겔 철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해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을 이루는 것은 어떻게 하이데거가 헤겔 철학을 이해하는지에 대한 서술이 된다. 특히 헤겔 철학에 대한 이해 속에서 하이데거가 문제 삼는 것은 헤겔의 `부정성` 개념이다. 다시말해 부정성의 본질은 차이이며 그 근원은 `존재론적인 차이`임에도 불구하고 헤겔은 이러한 차이를 망각하며 그러한 차이의 망각이 결정적으로 존재론에 대한 헤겔의 기획을 실패하게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헤겔은 부정성에 대한 이해 속에서 그 본질인 차이를 망각하게 되는 것이며 그러한 차이의 망각이 어떻게 헤겔의 기획을 실패하게 하는지, 뿐만 아니라 하이데거는 그러한 헤겔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논의를 기초로 본 논문은 헤겔 철학에 대한 하이데거 비판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결론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eidegger`s criticism of Hegel`s Philosophy. Specifically, this paper carries out the investigation by showing how Heidegger does deconstruct the premises of Hegel`s philosophy within his philosophy. This being so, Heidegger`s understanding of Hegel`s philosophy is above all of growing importance. Thus, it makes the first part of the investigation how Heidegger understands Hegel`s Philosophy. In his Understanding of Hegel`s philosophy, Heidegger particularly calls the concept of negativity into question. According to him, the essence of negativity is difference of which origin is the `ontological difference.` However, Hegel loses sight of this fact, and as a result, fails to ground his own philosophy as “ontology of real consciousness.” Herewith, it becomes clear what should be the second parts of our study: i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cond parts of our study why Hegel loses his sight of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negativity is `difference,` and how the oblivion of `difference` prevents him from grounding his own ontology, and how Heidegger solves Hegel`s problems like this. Based on this considerations, this paper presents what the meaning of Heidegger`s criticism of Hegel`s philosophy is as conclusion.

Ⅰ. ‘현실적 의식의 존재론’으로서 헤겔 철학의 문제점
Ⅱ. 부정성의 본질로서의 차이
Ⅲ. ‘차이’에 대한 의식 내재적 설명의 문제점
Ⅳ. 좌초된 존재론으로서의 ‘정신현상학’과 ‘논리학’
Ⅴ. 무(Nichts)와 근거 지움
Ⅵ.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