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애인 인식과 그 수용 태도가 대학에서의 장애도우미활동의 경험을 통해 장애인 수용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내 상위권 대학의 비장애 대학생 7명, 장애대학생 4명으로 총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중 van Manen(1990) 체험연구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구성 요소와 7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3개의 구성요소는`고등학교 때까지의 장애에 대한 태도`, `장애도우미 활동 이후의 태도 변화`, `장애 수용태도 변화 이후 통찰`로 나타났다. 7개의 하위 구성요소로는 태도(회피적, 위악적), 정서, 인지부조화, 태도(적극적, 위선적), 정서(긍정,부정), 인지조화, 교육 요구 였다. 본 논문은 대학생의 장애 도우미 활동 체험을 통하여 장애인 태도의 변화와 그 의미를 탐색하고 이후 장애와 비 장애 학생간의 통합교육과 사회통합을 위해 장애 수용태도의 변화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재시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how effect the challenged people awareness and receptive attitude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challenged support experience in college on the challenged people acceptance attitude. For this, 7 students and the 4 challenged studentsof top university in Seoul, total 11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e collected data used the framework in experience research of van Manen (1990s)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sult extracted 3 elements and 7 sub-elements. It apprears 3 elements consisting of `attitude toward the challenged people in high school`, `attitude change after the challenged people support experience` and `insight since the challenged people acceptance attitude change` This study is significance re-suggestions the needs of education for the change of the challenged acceptance attitude for social integration and integration education between the challenged students and students and change of the challenged acceptance attitude and the meaning of that through the challenged people support experience.
UCI(KEPA)
I410-ECN-0102-2018-300-000528621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사회학
: KCI등재
:
: 월간
: 1229-6988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3-2017
: 2057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