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실목표구조,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지각하는 수학 교과의 숙달목표구조,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지연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수학 교실을 숙달목표구조로 강하게 인식하고 수학 교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은 감소할 수 있지만 학습자의 수행회피목표가 높으면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은 증가할 수 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숙달목표구조와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개 효과 검증을 통하여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실목표구조가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직접 예측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간접적으로 예측하기도 하는 유의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습자의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가 숙달목표구조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lassroom goal structur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Participants were 23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W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nd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6.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stery goal structure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and mastery goals. Also, self-efficacy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More specifically, students who are perceiving strong mastery goal structure or endorsing high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students who are pursuing performance avoidance goals showed greater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evidence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astery goal struct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astery goal structure directly and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truct mastery goal structure and apply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helping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chronic academic procrastination in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