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91.246.21
18.191.246.21
close menu
}
KCI 등재
발도르프 교육 철학에 기반을 둔 아동 화예창작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Applying Floral Art Creation Inspired by the Philosophy of Waldorf Education
최사랑 ( Choi Sa Rang ) , 유택상 ( Yoo Taek Sang )
UCI I410-ECN-0102-2017-650-000375730

본 연구의 목적은 발도르프교육 철학을 기반으로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화예창작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방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화예창작 교육 영역에 새로운 대안적 교육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는 점과 개별 학습자가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그것을 자유롭게 내면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발도르프교육에 담긴 철학이 아동을 위한 새로운 화예창작교육의 방법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실행되었다.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서론에 이은 Ⅱ장에서는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는 발도르프교육의 내용에 대해 개괄하였고 Ⅲ장에서는 20세기 초에 제안된 발도르프교육을 현대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6가지 핵심적인 주요개념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한 주요개념들과 원리를 화예창작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구체적 대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상기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실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방법과 구성내용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개념은 초월적 추구, 내면의 표현, 자연적 삶, 상호 연계 수업, 개체적 중요성 중시, 복합예술과정의 6가지로 정리되어 졌고 핵심개념의 하부 영역을 20개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화예창작의 과정에 활용하여 다양한 화예적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각 개념을 도출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실제 프로그램 개발하는 예시를 통해 그 활용법을 안내하였다. 본 연구는 발도르프 교육의 철학을 화예교육 에 적용함으로써 아동의 정서적 균형과 감수성, 내면의 성장을 도모하는 화예창작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시도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proposes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by applying Floral art creation. It is ba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Waldorf, which focuses on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children: body, soul and spirit. It has an importance in that the value of human-being has been underestimated in Modern society, which is full of Materialism. Also, its effectiveness maximize the importance when applying to Floral art creation as it helps people to overcome the unbalanced view of human-being by refreshing them physically, mentally, emotionally. So, Floral art creation program,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would help children to be grown into the well-rounded under the circumstances above. This study mainly consists of three parts: deducting principle conceptions from Waldorf education theory and reality, applying to the floral art creation, and proposing the effective program and the exampl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