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83.69
3.147.83.69
close menu
}
KCI 등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한국판 LDS(언어발달검사) 반응특성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Language Development Survey of Toddlers suffering from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홍지헌 ( Ji Heon Hong ) , 하은혜 ( Eun Hye Ha )
UCI I410-ECN-0102-2017-180-000140972

본 연구에서는 심리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언어발달지체집단과 언어발달정상집단으로 구분하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한국판 LDS(언어발달검사) 반응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소아정신과와 재활의학과 등 3곳에 발달평가가 의뢰된 18개월에서 35개월 영유아 135명이며, 연구도구는 한국판 LDS(Language Development Survey),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 I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23개월 영유아의 LDS 어휘력 점수는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의 인지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24-35개월 영유아의 LDS 어휘력과 문장길이 점수는 Bayely 영유아 발달검사의 인지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18-23개월 영유아의 LDS 어휘력점수는 언어발달지체집단과 언어발달정상집단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효과크기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4-35개월 영유아의 경우 언어발달지체집단이 LDS의 어휘력에서 정상집단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효과크기는 중간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24-35개월 영유아의 LDS 문장길이점수에서 언어발달지체집단이 언어발달정상집단에 비해 유의 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나, 효과크기는 낮은 수준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LDS와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언어발달지체집단과 언어발달정상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언어발달지체 영유아가 한국판 LDS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판 LDS의 언어발달지체 변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DS of toddlers suffering from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e participants comprised 135 toddlers who were 18 to 35 months old. They were assessed at a child psychiatry clinic and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The K-BSID-II and the Korean LDS were used as the measuring t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ocabulary scores and Mental scales of the 18 to 23 month old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e Vocabulary scores, Phrase length scores and Mental scales of the 24 to 35 months old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Vocabulary scores revealed no differences between toddlers with or without language delay who were in the 18 to 23 months old group. The Vocabulary scores and Phrase length scores of -the 24 to 35 months group suffering from language dela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language development group. In addition, the effect size of- Vocabulary scores was moderate compared to low Phrase length scores. This stud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Korean LDS as a very useful tool for assessing language development delay in toddl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