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9.238.13
3.149.238.13
close menu
}
KCI 등재
지역주의와 제18대 대선
Regionalism and the 18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윤광일 ( Kwang Il Yoon )
분쟁해결연구 11권 1호 99-131(33pages)
UCI I410-ECN-0102-2016-300-000557386

본 연구는 제18대 대선 직후 시행된 ‘정치와 민주주의에 관한 의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주의가 정치적 선호와 투표 결정에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수준의 지역주의를 내집단 지역주의라는 최소주의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내(內)집단 편애와 외(外)집단 폄하’라는 근본적인 심리적 동기가 정치적 선호 결정에도 작용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즉 ‘주 성장지역’으로 조작적으로 정의된 내집단 지역주의는 내집단을 대표 또는 옹호하는 것으로 알려지거나 인지된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선호를 높이지만, 이와 대립 관계에 있는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선호를 낮추는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측했다. 같은 논리적 맥락에서, 내집단 대표성이 명확하지 않은 신진 인사나 지역정당의 전형적인 정치인과는 다른 개인적 특성을 보이는 정치인에 대해서는 지역주의 효과가 약화될 것으로 판단했다. Miller와 Shanks의 정치적 선호에 대한 다단계 설명 모델에 바탕을 두고 지역주의의 영향력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한 결과, 세 가지 주목할 만한 사실이 드러났다. 첫째, 내집단 지역주의는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에 한결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다른 변수를 통제한 경우, 대구/경북에서 주로 성장한 유권자는 새누리당 일체감을 가질 가능성이 높지만, 호남에서 주로 성장한 유권자는 민주통합당 일체감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둘째, 이 같은 지역주의는 직접효과보다는 정당일체감을 통해 궁극적으로 정치인 선호와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내집단 정당과 연계된 정치인이 외집단 출신인 경우 지역주의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발견은 내집단 지역주의를 활성화 또는 약화시키는 데에 정당과 정치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함의를 가진다.

The study analyzes how regionalism affects a voter’s political preferences and choices using a Korean election survey dataset collected after the 18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2012. Based on the minimalist definition of in-group regionalism, the study hypothesizes that ‘in-group favoritism and out-group derogation,’ one of the fundamental psychological motives, would apply in forming the individual’s political preferences and choices. Specifically, it hypothesizes that a voter is likely to favor his or her in-group regionalist party or politicians, who are known or at least perceived to represent the interest of his or her region, while the voter is likely to disapprove other out-groups or politicians. This in-group regionalism effect is hypothesized to weaken when the individual evaluates relatively new politicians, whose personal characteristic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ypical politicians of the in-group regionalist party. Drawing on Miller and Shanks’ multi-stage explanatory model of political preference, the study identifies the following empirical findings: First, in-group regionalism affects the voter’s party identification consistently as well as significantly in a statistical sense. 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is more likely to identify with Saenuri Party if he or she has grown up in Daegu/Kyungpook while with Democratic United Party if the individual has grown up in Honam. Second, in-group regionalism affects the voter’s political preferences via affecting the partisanship. Although the net effect of regionalism on such preferences may not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t effect of party identification turns out consistent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 politician from out-group region, who nonetheless represents an in-group party, seems to reduce regionalism of both in-group and his or her fellow out-group voters. The study discusses political implications of such findings,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party and politicians, both of which tend to activate and reinforce in-group cues among the Korean vot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