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9
216.73.216.169
close menu
KCI 등재
무용전공자의 신체이미지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Images of Dance Majors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
차수정 ( Su Jung Cha )
한국무용연구 33권 3호 361-392(32pages)
UCI I410-ECN-0102-2016-680-000644761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 320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신체를 활용하여 미적으로 표현하고 표출해야 되는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신체이미지를 알아보고 자신의 미래행동과 관련이 있는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검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신체이미지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는 하위요인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신체이미지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신체이미지는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중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자의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개방성, 이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cal images that were expressed aesthetically and recognized by dance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on 320 dance majors. Furthermore, it explored th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 that were related to their future behavi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inte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tilizing SPSS 21.0 Program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images of dance majors and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bfactors. Second, the physical images of dance majors g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all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Third, the physical images of dance majors had effects on sensitiveness, openness and understanding that were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 Fourth, the self-efficacy of dance majors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communication, reliability, friendliness, openness and understanding that were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