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36
216.73.216.36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임연정 ( Yeon Jeong Lim ) , 진미경 ( Mi Kyoung Jin )
UCI I410-ECN-0102-2016-180-000216255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3곳의 5, 6학년 아동 5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부와 모의 양육태도를 온정·수용적으로 지각할수록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지만, 허용·방임적이고 거부·제재적으로 지각할수록 또래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와 모의 양육태도 중 온정·수용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을 발달시키는 요인으로, 허용·방임과 거부·제재가 정서조절능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능력은 또래관계에 높은 수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은 부와 모의 양육태도 중 온정·수용, 거부·제재와 또래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허용·방임과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아동의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위한 아동상담과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tating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Survey data from 547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were taken for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22.0.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ing attitudes were seen as ‘warm and accepting’, there were positive impacts upon their peer relationships. However, when children perceived their parents as being ‘permissive and non-intervening’ and ‘rejecting and restrictive’, there were negative impacts on their peer relationships. Second, ‘warmth-acceptance’ type attitudes develope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hile ‘permission and non-intervention’ and ‘rejection and restriction’ attitudes undermined these abiliti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heir peer relationships showed a high degre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Fourth,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played a fully mediating role on ‘warmth-acceptance’ and ‘rejection and restriction’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on ‘permission and non-intervention’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