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183.186
13.59.183.186
close menu
KCI 등재
친숙하다고 다 받아 들일까? -친숙성의 역효과에 관한 연구-
The Backfire Effect of Familarity
김경진 ( Kyung Jin Kim ) , 김경민 ( Kyungmin Kim )
소비자학연구 25권 3호 117-140(24pages)
UCI I410-ECN-0102-2016-320-000427785

단순노출효과는 단순한 접촉만으로 호감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소비자는 반복접촉으로 친숙성이 높아진 대상에 대하여 인지적 편안함(fluency)을 느끼게 된다. 이 때, 편안한 느낌에 대해 그 대상이 장점이 많다고 오귀인(misattribution)하게 되어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오귀인을 시정하도록 지시하면 친숙성에 의한 자동적인 호감 효과가 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방어초점 소비자의 경계심을 활성화하는 조건에서 오귀인에 의한 친숙성 효과가 사라지고, 오히려 과조정(overcorrection)에 의한 친숙성의 역효과까지 일어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실험 1에서 인지적 자원이 충분한 방어초점 소비자에게 초기판단을 심사숙고하도록 지시하면, 친숙한 제품보다덜 친숙한 제품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친숙성의 역효과를 보여주었다. 매개테스트 결과, 이 조건에서 소비자는 경계심(vigilance)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조건, 즉 향상초점이나 인지적 자원의 고갈, 또는 심사숙고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경계심 수준이 낮았으며, 친숙한 제품을 덜 친숙한 제품보다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친숙성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 2에서 인지욕구가 높은 방어초점 소비자도 친숙성의 역효과를 보여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달리 조절초점의 측정 대신 설정, 인지자원 설정 대신 인지욕구 측정, 친숙성의 측정 대신 설정이라는 다른 방법론을 취했는데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 친숙성의 역효과 현상을 거듭 확인해주었다. 실험 3은 실험 1, 2의 결과와 달리 경계심이 높아진 방어초점 소비자가 오히려 친숙성 효과를 보이고, 향상초점 소비자가 오히려 친숙성의 역효과를 보이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인지자원이 충분한 조건에서, 독특성 욕구가 높은 방어초점 소비자와 향상초점 소비자는 친숙성에 관한 각기 반대의 행동을 보여주었다.

The mere exposure effect said that repeated mere exposures cumulate favor. Consumers who have been exposed repeatedly may feel fluency for the exposed things. Feeling fluency stimulates misattribution toward virtue of the exposed. Instruction against this misattribution, however, mitigates automatic favorable attitude of consumers who feel familiarity and fluency. This study suggested that prevention-focused consumers who are activated their vigilance do not take automatic favorable attitude for familiar things. All the more, the preventional consumers may put their attitude toward familarity negatively because of overcorrection process. Experiment 1 showed that the prevention-focused consumers who were under condition of proper cognitive resource and of deliberation instruction for their first judgment preferred the unfamiliar product to the familiar. Mediation test said that the preventional consumers under this condition felt vigilance. However, the other conditions related with promotion focus, cognitive depletion, or less deliberation induced the familiarity effect. Experiment 2 also showed that the prevention-focused consumers who had high need for cognition took negative attitude against familiarity. This experiment replicated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through another methods, that is, manipulation of regulatory focus rather than measure, measure of need for cognition rather than depletion of cognitive resource, and manipulation of familiarity rather than measure. Experiment 3 suggested the opposit patterns of prior experiments, that is, the preventional consumers showed the familiarity effect, and the promotional consumers showed the backfire effect of familiarity under condition of proper cognitive resource and high need for uniqueness. Generally, our three experiments converged to one point that the interaction of prevention focus and vigilance might cause the backfire effect of familiarity. Vigilance may be caused by deliberation(=exp.1), or by need for cognition(=exp.2).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teractive effect of promotion focus and need for uniqueness might take the backfire effect (=exp.3). Concludingly, various contexts can induce the dark side of familiarity, and so marketers must not to have a viewpoint of blind faith for familiarity effe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실험 3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