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서울시는 총 인구 수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소형가구의 증가로 인해 총 가구 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수도권 내 소형가구는 2010년 기준 전체가구의 44%를 차지하고 있으며, 통계청에서는 2020년에는 전국의 1인 가구 수가 전체가구의 약 30%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1인 가구 관련 선행연구에 따르면 1인 가구가 연령별로 선호하는 주택유형이나 주변 환경 등이 다르게 나타나며,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1인 가구의 공간적 분포로 이어질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1인 가구의 공간적 분포 요인이 되는 시설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에 기초한 서비스 권역 분석 후 도출된 면적을 공간적 단위의 면적 비율로 계산하여 이를 독립변수로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간적 단위는 서울시 집계구이며, 이를 토대로 연령별 1인 가구 수와 분포요인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더미변수로 서울시 공간권역인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 서북권, 서남권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권역별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연령별로 주로 분포하고 있는 공간권역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20대는 대학가 근처 주택, 30대는 전월세 주택, 40~50대는 월세주택, 60대 이상은 연면적 40㎡이하의 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1인 가구는 연령별로 선호하는 주택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주택정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number of total population in Seoul has been on the constant decline for the last few years, the number of household has increased due to the rising tendency of the smaller households. In 2010, the small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s accounted for 44% of the entire households, and Statistics Korea has reported that one person household, which will take up more than 30% of the whole household, will have been the most common type of household by 2020. This reason of rise will be differently shown according to age like the preferred housing type or surrounding environments, this research is suggest to research hypothesis that distinction of age leads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exercis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on the facilities, which become the spatial distribution factor of one person household,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 gained from the concluded area calculated with the area ratio of the spatial unit followed by the service area analysis based on network. The spatial unit is the census output of Seoul, and based on th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 according to age and the factors of its distribution. Also, the spatial regions - downtown, northeast, southeast, northwest, southwest - are designed as dummy variables and the results of each region are found out. As a result, the spatial regions occupied according to age are found to be varied - people in their 20s prefer housings near the college, 30s lease or the monthly rental housings, 40s the monthly rental housings, and over 60s the housing with the floor area of less than 40㎡ . Likewise, one person household has different types of housing environments preferred according to age, and thus a housing policy concerning this will have to b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