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36
216.73.216.36
close menu
KCI 등재
CBCL 1.5-5 공격행동척도의 하위요인 탐색
The Subfactors of Aggressive Behavior in the CBCL 1.5-5
김민애 ( Min Ae Kim ) , 하은혜 ( Eun Hye Ha )
UCI I410-ECN-0102-2015-100-001965311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공격성 발달양상과 분화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CBCL 1.5-5 공격행동척도의 하위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 및 아동전담시설에 다니는 18-36개월의 일반 영유아 326명(남아 654명, 여아 161명)을 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 한국형 Danver-Ⅱ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BCL 1.5-5공격행동척도를 탐색적 요인분석한 결과, 외현적 공격행동과 정서적 공격행동의 2가지 하위유형이 도출되었고, 이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39.29%였다. 각각의 하위요인의 특징을 살펴보면, 외현적 공격행동에는 타인에게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해를 끼치거나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있는 총 9개의 공격성 문항들이, 정서적 공격행동에는 정서 조절이 낮거나 역기능적인 정서조절과 관련 있는 6문항이 추출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CBCL 1.5-5 공격행동 하위 2요인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RMSEA 값을 비롯하여 GFI, CFI, TLI 등 적합도 지수들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2개의 공격행동 하위요인 구조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맞는 척도를 사용하여 18-36개월의 일반 영유아의 공격성이 외현적 공격성과 정서적 공격성으로 분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공격성의 특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이 두 요인을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factors of the Aggressive Behavior Scal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326 normal infants, aged between 18 to 36 months-old.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2-factor solution on 14 of the CBCL 1.5-5 within the original aggressive behavior subscales 19 items. Factor 1 was “Overt Aggressive behavior”, and factor 2 was “EmotionalAggressive behavior”. Seco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2 factor structur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its model fit turned out to be satisfactory. This study implied that aggression within 1 to 3 year-old infants can be clearly divided into 2 factor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