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개념과 개인 심리적 요인 및 임상적 개입에 대한 논의: 2011년~2015년까지 발표된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A Review on the Concepts within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and Clinical Intervention available for Smart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hildren and Youth: Focusing on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1 to 2015
박미진 ( Mi Jin Park ) , 김광웅 ( Kwang Woong Kim )
UCI I410-ECN-0102-2015-100-001965280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진행된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문제점 및 이후 연구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2011년-2015년 동안 아동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론적 개념이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연구, 그리고 개인 심리학적 변인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론적 개념, 임상적 특성 및 개입과 효과,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인 심리적 요인들을 분류하여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중독 개념 사용의 문제,측정과 진단의 문제, 임상적 진단과 개입, 임상 연구의 부족 문제등과 같은 쟁점들을 다루었다.결론에서는 아동,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연구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지역적,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도 시도되길 촉구하였고, 임상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임상가들의 적극적 학문적 시도를 요청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problems found in research conducted so far into the subject of smart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hildren and youth through a process of critical analysis of those studi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on academic concepts and clinical traits inherent within smart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hildren and youth, with one thread dealing with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from 2011 to 2015. This study attempted to define the concepts of smart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hildren and youth and examine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as well as clinical traits and involvement in smart phone addiction. Finally, it clarified a number of extant issues on the concept inherent within, measurement and diagnosis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clinical diagnosis and intervention methods available as well as weaknesses within current clinical research. In conclusion, research into smart phone addiction amongst children and youth needs to be approached both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 and clinical specialists need to be involved in order to revitalize and make positive academic progress in activating higher quality clinical research into this area.

Ⅰ. 서 론
Ⅱ.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념 및 임상적 특성과 효과
Ⅲ. 스마트폰 중독과 아동·청소년의 개인 심리적 요인
Ⅳ.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연구에서의 쟁점들
Ⅴ.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