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hi Amane`s Concept of Science in Translation
1. 머리말 2. 니시의 ‘學(science)’과 ‘科學’ 개념 3. 니시의 ‘物理’ 개념 4. 니시의 ‘格物’ 개념 5. 맺음말 참고문헌
본 논문은 일본 최초의 근대철학자로 일컬어지는 니시 아마네의 과학개념을 ‘학(學)’, ‘물리(物理)’, ‘격물(格物)’ 등의 어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니시는 오늘날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은 근대학술어들을 번역했을 뿐만 아니라, 서구 학문의 수용을 통해 ‘학역(學域)’, 즉 ‘학문의 영역’을 새롭게 구분한 인물로 알려진다. 본고에서 다루는 ‘학(學)’, ‘물리(物理)’, ‘격물(格物)’ 등은 니시의 과학사상 안에서도 중요한 어휘들로, 원래 전통적 어휘들이었던 그것들이 어떠한 개념적 변용을 통해 근대적 학문을 가리키는 어휘로 탈바꿈했는가는 일본에서의 서구학문의 이식과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science는 보통 ‘과학(科學)’으로 번역된다. 그러나 니시는 이 science를 ‘과학(科學)’이 아니라 ‘학(學)’이라고 번역했다. 그에게 있어서 ‘학(學)’은 ‘술(術)(art)’과 반드시 연계된 개념으로, ‘학술(學術)’이란 곧 오늘날의 과학기술을 의미했다. 니시는 동시에 ‘과학(科學)’이라는 어휘를 사용했지만, 그것은 ‘분과(分科)의 학(學)’이라는 메이지 초기 ‘과학(科學)’의 일반적인 용법을 따른 것이었다. 즉, 니시에게 있어서 ‘과학(科學)’과 science는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되었고, 메이지 중기에 이르러서야 ‘과학(科學)’은 science의 역어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니시는 ‘물리(物理)’를 physics의 역어로서가 아니라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계 일반의 법칙을 가리키는 어휘로 사용했다. 사실상 박물학적 개념에 가까웠던 니시의 ‘물리(物理)’ 개념은 물리현상뿐만 아니라 생명현상과 화학현상까지를 포괄했다는 점에서 서양의 physics보다는 오히려 에도시대의 전통적 ‘물리(物理)’ 개념과 유사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니시는 ‘격물(格物)’을 오늘날의 물리학을 가리키는 어휘로 사용했다. 특히 니시의 ‘格物’에 보이는 ‘물(物)’ 개념은 주자학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보이는 ‘物’ 개념으로부터 완전한 개념적 전회를 이룬 것으로, 그것은 matter의 번역어에 다름 아니었다. 즉, 니시가 ‘格物’이라는 전통 주자학의 어휘를 사용하면서도, 뉴턴 이후 체계화된 서양과학의 물질관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은 ‘물(物)’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이해 때문이었다. 니시의 ‘물리(物理)’에 보이는 ‘物’ 개념과 ‘격물(格物)’에 보이는 ‘물(物)’ 개념에는 차이가 있다. ‘물리(物理)’의 ‘물(物)’ 개념이 동식물을 포괄하는 자연계 일반을 가리켰다면, ‘격물(格物)’의 ‘物’은 matter로 한정되었다. 그것은 니시가 주자학의 ‘물(物)’ 개념을 세분화시켰음을 보여준다. 즉, ‘物’에 대한 그 같은 세분화된 이해는 니시가 ‘물리(物理)’와 ‘격물(格物)’을 구분할 수 있었던 근거가 되었고, 나아가 물리학과 화학 등 여타의 자연과학 분야의 ‘학역(學域)’ 또한 구분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This article is to study Nishi Amane’s scientific concepts, ‘gaku(學)’, ‘butsuri(物理)’, ‘kakubutsu(格物)’. Nishi is known not only as a translator of modern technical term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East Asia, but also as an organizer who classified area of knowledge by accepting Western knowledge.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concepts such as ‘gaku’, ‘butsuri’, ‘kakubutsu’, illustrates how Nishi could accept modern Western knowledge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Nishi translated science into ‘gaku’, and divided it from ‘jutsu(術, art)’. According to Nishi, however, ‘gaku’ is strongly related to ‘jutsu’, so their relation is similar to science and technology. Nishi used the word ‘kagaku(科學)’, which is normally translated from science today, but that meant just each fields of knowledge. Nishi did not use the word ‘butsuri’ in the meaning of physics. He used the word in the meaning of the law of the natural world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The object of ‘butsuri’ by Nishi indicates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phenomenon. Therefore, we can say his ‘butsuri’ is similar to traditional concept of ‘butsuri’ in Edo period rather than physics in Western science.‘Kakubutsu’ was originally from Neo-confucianism, but Nishi redefined the meaning of ‘kakubutsu’. Nishi used the word ‘kakubutsu’ in the meaning of physics. Nishi translated ‘matter’ into the chinese character ‘butsu(物)’. According to Nishi, the concept of ‘butsu’ from ‘butsuri’ differs from the concept of ‘butsu’ from ‘kakubutsu’. It shows that Nishi divided the concept of ‘butsu’ from Neo-confucianism into two concepts. Division of the concepts of ‘butsu’ by Nishi was not only the key point that Nish divided ‘butsuri’ from ‘kakubutsu’, but also the starting point that he divided area of science such as physics and chemistry.
I410-ECN-0102-2015-100-00017025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98권 0호 ~ 98권 0호 |
|
39권 4호 ~ 39권 4호 |
현대향가 |
1권 0호 ~ 3권 0호 |
한국불교사연구 |
18권 0호 ~ 18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33권 0호 ~ 33권 0호 |
|
9권 2호 ~ 9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30권 0호 ~ 30권 0호 |
|
86권 4호 ~ 86권 4호 |
|
93권 0호 ~ 93권 0호 |
|
40권 0호 ~ 40권 0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
11권 0호 ~ 11권 0호 |
|
121권 0호 ~ 121권 0호 |
|
120권 0호 ~ 120권 0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131권 0호 ~ 131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3권 0호 ~ 63권 0호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
1권 0호 ~ 6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