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세기 이전에 외국어로 번역된 <춘향전>을 대상으로, 현 전하는 여러 <춘향전>들과의 서사 및 화소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번 역대본을 추정해 보고, 번역의 대본이 된 모본과의 차이점을 바탕으 로 변모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나카라이 도스 이(半井桃水)의 일본어 번역본 <鷄林情話 春香傳>(1882)을 시작으로, 알렌의 영어 번역본 Chun Yang - The Faithful Dancing-girl Wife(1889), 로니의 프랑스어 번역본 Printemps Parfume(1892), 아르노 우스의 독일어 번역본 Chun Yang Ye - Die Treue Tanzerin(1893)에 이르는 20세기 이전 번역본들을 춘향전 초기 번역본들로 볼 수 있다. <일역본>은 경판 30장본을 번역의 대본으로 삼아서 신문연재 분 량에 맞추어 20회로 나누어 번역한 것으로, 중반부까지는 대본을 직역하려는 의도가 비교적 강하게 나타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의역 및 초역의 비중이 높아진다. 일역본에서 개성적인 변모는 춘향 그네 화 소를 곡수의 연회 화소로 대체한 점, 월매를 진중하고 사려깊은 인물 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 인물의 내면 심리나 사건 진행의 시간적 표현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는 점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역본> 은 경판 23장본 또는 그 이하본을 대본으로 삼아 번역한 것으로, 대 본의 서사적 내용을 의도적으로 바꾸려는 의도는 낮지만, 일역본에 비하면 직역의 정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번역양상을 보인다. 영역본에 서는 춘향이 광한루 근처가 아닌 자기 집 정원 안에서 그네를 타는 것으로 설정했다는 점과 이도령이 직접 기생명부에서 춘향의 이름을 지우는 장면이 나타난다는 점 등을 개성적인 변모로 지적할 수 있다. <불역본>은 세책 계열 또는 경판 계열 춘향전을 대본으로 번역한 것 으로 보이는데, 일역본이나 영역본과는 달리 직역 위주로 변역된 부 분이 거의 없고 의역을 위주로 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본을 확정하 기는 어렵다. 불역본은 춘향의 신분을 천민 기생이 아닌 평민으로 설 정했다는 점이 가장 큰 변화이다. 이러한 설정의 변화에 따라, 이도령 의 여장화소가 나타나고, 방자의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 나타 난다. <독역본>은 아르노우스가 직접 국문본 <춘향전>을 대본으로 삼아 번역한 것이 아니라, 알렌의 영역본을 대본으로 독일어로 다시 번역한 것이다. 이상의 20세기 이전에 외국어로 번역된 <춘향전>을 통해서 당시 조선에서는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춘향전의 외연을 확인할 수 있다 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In prior to the 20th century, Chunhyang-jeon has been translated into a Japanese, English, French and German language. Nakarai Dosui, a reporter of Osaka-Asai Newspaper, translated into a Japanese version in 1882, titled Gerimjeonghwa Chunhyangjeon. The Japanese version is generally translated literalistically, but the liberal translation appears from the latter of this work. Especially the Chunhyang swing motif changed into a festival of Goksu. The English version was translated by H.N. Allen, a missionary of America, in 1889. This text is less literalistic translation than Japanese version. in the English version, we can find some distinctive transformation, like that Leedoreong erase the name of Chunhyang in the book of gisaeng. The French version was translated by J.-H. Rosny, a popular novelist Boex brothers, in 1892. The most characterful transformation in this version is that the social status of Chunhyang is created as a common people not as a giaeng. therefore Leedoryeong dressed up as a woman to meet and access to Chunhyang in this work. The German version is just translated English version. These translation texts shows that the end of narrative of Chunhyang-jeon never dreamed in Chosun dynasty, and let us know foreign translator`s liberal imagi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