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토대론 대 정합론 논쟁과 직접적 정당화
The Debate between Foundationalism vs Coherentism and Immediate Justification
한상기 ( Sang Ki Han )
동서철학연구 71권 463-487(25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0522405

현대 인식론에서 중요한 논쟁 중 하나는 토대론 대 정합론 논쟁이다. 그렇다면 토대론과 정합론 사이의 핵심 쟁점은 무엇인가? 그것은 직접적이거나, 기초적이거나, 토대적인 종류의 믿음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직접적 정당화가 있다고 주장하는 대표적 철학자로는 제임스 프라이어(J. Pryor)와 앨빈 골드맨(A. Goldman)을 들 수 있다. 그 중 프라이어는 최근에 기존의 논의를 뛰어넘어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논증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보통 토대론을 옹호하는 논증으로 간주되어온 정당화 무한후퇴 논증(infinite regress argument)이 토대론을 옹호하는 최선의 논증이 될 수 없다고 보고,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하여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한다. 하나는 직접적 정당화의 사례를 예로 드는 긍정적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정합론을 옹호하는 주 논증(master argument for coherentism)을 반박하는 부정적 전략이다. 이러한 두 가지 전략을 통해 프라이어는 직접적 정당화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논문은 우선 왜 무한후퇴 논증이 기존의 통념과 달리 토대론을 옹호하는 최선의 논증이 될 수 없는지 짚고 넘어가려 한다. 그런 다음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프라이어의 긍정적 전략과 부정적 전략을 소개하고, 이 전략을 통한 프라이어의 구체적 논증과 주장을 살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견해가 함의하거나 언질을 주는 원리들을 검토함으로써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그의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debates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is the debate between foundationalism vs coherentism. What is, then, the central issue between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It is whether a species of justification that is immediate, basic, or foundational. J. Pryor and A. Goldman, and others hold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Among others, J. Pryor have developed impressive arguments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in recent times. According to him, the best argument in its support is not the infinite regress argument, according to which unacceptable alternatives lend support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must be immediate justification. He uses two strategies to establish the conclusion that such justification exists. First, he argues that the best way to defend the existence of immediate justification is to cite examples of such beliefs, such as “I am tired” or “I have a headache.” Secondly, he provides support immediate justification by criticizing what he calls “Master Argument for Coherentism.” And he concludes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This paper first considers reasons why the infinite regress argument is not able to be best way to defend foundationalism. And then, I explain Pryor`s two strategies, positive and negative, to establish the view that there must be immediate justification. Finally, I examine principles to which a view like Pryor`s is committed. Each of these principles is, by itself, highly plausible, but they are inconsistent each other.

1. 머리말
2. 무한후퇴 논증과 토대론
3. 직접적 정당화를 옹호하는 프라이어의 긍정 전략: 예를 통한 논증
4. 정합론을 옹호하는 주 논증
5. 정합론을 옹호한느 주 논증에 대한 프라이어의 비판
6. 프라이어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음미
7.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