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9.214.28
3.149.214.28
close menu
KCI 등재
청미(淸米), 여역(려疫), 대보단(大報壇): 강희제의 해운진제(海運賑濟)와 조선의 반응
淸米、여疫、大報壇: 康熙帝的海運賑濟輿朝鮮對此的反應
김문기
역사학연구 53권 106-153(48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0588585

1690년대 후반, 조선은 ‘을병대기근(1695~1699)’이라는 참혹한 기근을 겪었다. 대기근을 극복하기 위해 조선은 청에 곡물교역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강희제는 5만석의 곡물을 조선에 보냈다. 이런 사실은 우리학계에서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다. 이 글은 소빙기의 관점에서, 강희제의 ‘해운진제’에 대한 조선의 한 반응으로 大報壇에 주목했다. 을병대기근 동안, 청으로부터 쌀을 들여오자는 ‘請穀’ 논의는 숙종 22년(1696)에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이듬해 기근이 더 심해지자 많은 논란 끝에 9월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조선의 요청을 받은 강희제는 신속하게 육로로 2만석, 해로로 3만석을 보냈다. 숙종 24년(1698) 정월에는 육운미 2만석이, 4월에는 해운미 3만석이 중강에 도착하여, 교역을 통해 조선에 배분되었다. 곡물이 들어오자 이를 둘러싼 문제들이 불거졌다. 이를 빌미로 ‘請穀’ 자체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를 계기로 업무를 총괄하던 최석정을 비롯하여 請穀을 주도했던 신료들에 대한 탄핵이 강력히 제기되었다. 강경한 사대부들은 복수설치의 대상인 ‘오랑캐’ 청으로부터 곡물을 받아들였다는 사실 자체를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그들은 請穀을 ‘대명의리’와 ‘춘추대의’를 망각하고, 원수인 청으로부터 씻지 못할 치욕을 당했다고 여겼다. 그들에게 淸米를 받아먹는 것은 곧 夷狄, 禽獸가 되는 것이었다. 나아가 전후 수백만 백이 사망하는 대참상을 겪으면서, 일각에서는 이러한 역병이 ‘淸米’로부터 말미암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숙종 30년(1704) 대보단을 둘러싼 논의는 을병대기근 동안의 기근과 여역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한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거기에는 ‘復수雪恥’가 불가능하다는 현실인식을 담고 있다. 또한 을병대기근의 여파,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희제의 ‘해운진제’에 대한 충격이 반영되어 있다. 이것을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은 최석정에 대한 공격에서이다. 명이 멸망한 갑신년(1644)으로부터 ‘一周甲’이 되던 해에 대보단이 설립되었다. 그렇다면 또 다른 치욕인 정축년(1637)의 ‘일주갑’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가? 바로 청으로부터 곡물을 들여오자는 ‘請穀’논의가 있었다. 청미를 받아들이는 순간 ‘尊周義理’는 망각되었고, 夷狄과 禽獸가 되었다는 논리이다. 따라서 ‘존주의리’와 ‘춘추대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장치가 필요했다. 청곡에 대해 가장 강경하게 비난했던 인물들이 송시열계의 강경노론이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이들은 만동묘와 대보단의 건립을 주도하면서, 사실상 이후 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를 장악했다. 대보단은 강희제의 해운진제에 대한 보다 분명한 조선의 대답이었던 것이다.

1690年代后期,朝鮮經受了所謂‘乙丙大飢饉’(1695-1699)的殘酷災害. 爲了克服大飢饉,朝鮮向淸朝要請谷物貿易. 結果,康熙帝的淸朝送給了五万石谷物. 此文按照小병期的觀点來,注意了朝鮮對康熙帝海運賑濟的一種反映,卽大報壇. 在乙丙大飢饉期間,‘請谷’議論開始于肅宗22年(1696),直到下一年九月才決定下來. 接受了朝鮮的要請,康熙帝迅速對應. 肅宗24年(1698)正月,陸運米二万石抵達了中江,倂分配完了;同年四月,又一次海運米三万石抵達中江,倂分配完了. 有些士大夫,一直對淸朝保持强硬態度:因爲他們把淸朝看作爲復仇雪恥的對象,卽‘胡虜’. 這些保持强硬態度的士大夫,흔難容納從淸朝收到谷物的事實. 他們認爲,請谷乃是忘掉‘大明義理’和‘春秋大義’的行爲,仇適淸朝大大侮辱了他們. 他們又認爲,收到淸米乃是把自己變成爲夷狄、或禽獸. 肅宗30年(1704),建立大報壇的議論開始進行,朝鮮仍然處于尙未超脫乙丙大飢饉和려疫的后遺症. 在此,反映着康熙帝‘海運賑濟’對朝鮮士大夫的沖擊. 甲申年(1644),明朝覆滅了,過了一個‘一周甲’(1704),建立了大報壇. 丁丑年(1637),朝鮮經受了雪不掉的恥辱,那머,過了一個‘一周甲’(1697),到底發生了什머事?果然,有‘請谷’議論開始. 最激烈反對請谷的政治集團,是宋時烈系的强硬老論一派. 這幇人主導了万東묘和大報壇的建立,事實上掌握了以后朝鮮的意식形態覇權. 大報壇,正是朝鮮對康熙帝海運賑濟的明確回答.

Ⅰ. 머리말
Ⅱ. 을병대기근과 강희제의 국제원조
Ⅲ. 은혜와 치욕: 請穀을 둘러싼 논란
Ⅳ. 癘疫의 확산과 대보단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