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5~7월까지 전북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에 위치한 주자천에서 감돌고기의 일중 산란 타이밍 및 초기 산란 위치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감돌고기의 산란은 5월 7일부터 7월 1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꺽지 산란장에만 탁란을 했다. 61개 꺽지 산란장 중 56개의 산란장에 탁란했으며, 꺽지 산란 후 1~2일 사이에 시작되었다. 하루 중 감돌고기의 탁란은 꺽지의 공격횟수가 낮게 나타난 6~7시 사이에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감돌고기가 탁란한 알의 부화율은 지속적인 꺽지의 산란장 방어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감돌고기는 자신의 알을 중심으로 난 보호를 하는 꺽지 난괴와 가까운 곳부터 산란을 함으로써 꺽지의 난 보호를 통한 이득을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best spawning timing in a day and the first spawning position of Pseudopungtungia nigra was investigated at the Jujacheon stream in Jinan-gun Jeollabuk-do, Koera from May to July 2009. P. nigra spawned only at the nest of Coreoperca herzi from 7 May to 11 July, 2009. P. nigra spawned at 56 nests among 61 nests of C. herzi, and the spawning of P. nigra started on after 1st or 2nd day spawning of C. herzi. The spawning behavior was dominantly observed at around 06:00 to 07:00 AM, when parental C. herzi males are usually inactive in the territorial defence. The hatching rate of P. nigra egg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arental activity of the guarding C. herzi, and P. nigra deposit their egg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egg clutches of C. herzi (normally at the perimeter of the clutch), likely to take much of the potential effects from fanning and guarding, as the hosts focus their care on the centre of the egg clu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