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우리나라 영유아교육 도입전개 배경의 재조명
Revisiting the kindergarten foundation movement of the 1900s
정선아 ( Shun Ah Chung ) , 윤은주 ( Eun Ju Yun )
유아교육연구 34권 1호 309-326(18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05789

우리나라 영유아교육의 도입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구식 유치원 설립으로 그리고 이의 배경은 일제강점기 교육 구국운동만으로 강조해 온 경향이 없지 않다. 그 결과 서구식의 유치원 교육만이 영유아교육으로 발전되었고, 이 전개과정에서 서구식 영유아교육은 전통적인 우리나라 영유아교육의 역사와 연계되지 못한 채 발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 영유아교육의 도입과 전개 과정의 역사적 배경을 재조명하여, 서구식 관점의 영유아교육이 전통교육과의 단절이 아닌 전통과의 대화였다는 연결 고리를 찾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구 문물이 도입된 1890년대부터 해방 전까지 근대 영유아교육 도입과 전개와 관련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서구식 유치원 설립운동으로만 알려진 영유아교육의 도입과 전개 배경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대 영유아교육 설립운동은 기존에 알려진 교육구국운동 뿐만 아니라 여성운동, 종교의 교세 확장, 보육운동으로서 유치원교육 등 다양한 사회정치적 배경으로 일어났으며, 아울러 지역 면에서도 서울뿐만 아니라 밀양, 마산 등 개항지를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배경으로 활발히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영유아교육은 다양한 배경에서 시작되었고, 서구식 유치원 설립을 통한 서구식 영유아교육을 전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우리나라 전통교육과 연결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운동으로만 알려진 유치원은 보육운동이었으며, 보육과 교육의 통합적 접근이었으며 보육을 기치로 삼고 있었다.

This study i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understandings of the kindergarten foundation movement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re are several crucial elements which most actively intertwine to emerge as causal players in the foundation, for example, feminism and the expansions and influence of religious faiths, to name but two of the many kindergarten foundation movement`s competing genesis stories dating from 1910 to 1950, yet only one, the foundation of a western style kindergarten, has been considered as the primary catalyst to boost and develop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in Korea. This study looks at the broader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iod, uncovering hidden materials that document the dynamic interplay of movements and happenings, especially that of Korean traditional ECEC, to restore national recognition of that element and reestablish a balanced historical awareness of ECEC in Korea.

Ⅰ. 서론
Ⅱ. 다각적 배경을 지닌 우리나라 영유아교육의 도입 및 전개
Ⅲ. 전통 영유아교육의 명맥
Ⅳ.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