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6
216.73.216.186
close menu
KCI 후보
아동의 부모애착 및 또래관계에 따른 군(群)과 외로움 연구
The Relationships Between Clusters of Parent Attachment and the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박소연 ( So Youn Park ) , 진미경 ( Mi Kyoung Jin ) , 조유진 ( You Jin Cho )
UCI I410-ECN-0102-2014-300-001641021

본 연구는 아동의 아버지와 어머니, 또래라는 사회적 관계의 다양한 측면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근거한 독특한 유형의 군집을 분류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고, 또한 분류된 군집과 아동의 외로움과의 관련성을 보다 새로운 방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으로 먼저, 아동의 부, 모, 또래관계 특성에 따른 ‘군’을 분류해 보고, 다음으로 분류된 ‘군’에 따른 아동의 외로움의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수도권 지역 내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고, 총 52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부, 모 및 또래관계 특성에 따른 군집은 3개 군집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각 군집의 독특성을 반영하여 군집1은 안정-친밀 집단으로, 군집2는 불안정-고립 집단으로, 군집3은 불안정-혼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에 따른 아동의 외로움에서의 차이는 군집 별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로움은 군집2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다음으로 군집 3, 군집 1의 순서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부, 모 및 또래라는 주요 사회적 관계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이후 아동상담 시 부모 및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relationships of father, mother, and peers by cluster analysis and examined group differences in the loneliness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20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Seoul, Incheon, and Gyunggi areas. They completed the following measures;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IPPA-R), Friendship Quality Scale(FQS), and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luster analysis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and friendship quality suggested the presence of three clusters(‘Security-Intimacy’, ‘Insecurity-Isolation’, ‘Insecurity- Confusion’). Additionally, three group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lonelines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