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48.63
3.145.48.63
close menu
}
KCI 등재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일에 대한 상황적 동기(SIMS) 척도의 타당화
The Validity of a Situational Motivation Sca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Regarding Work
황혜원 ( Hye Won Hwaing ) , 김봉환 ( Bong Hwan Kim )
상담학연구 14권 5호 2891-2906(1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433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상황적 동기척도를 직장인의 일에 대한 동기 척도로 적합하게 수정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1차 연구과정으로 2013 년 2월 18일부터 29일까지 수도권 지역 100명 이상 있는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직장인 303명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6문항 중에서 4개의 요인으로 묶여지지 않는 2문항을 발견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제시한 4요인 중에서 요인 1과 요인 3은 일관되게 한 요인으로 묶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요인 2와 요인 4는 각각의 요인으로 묶이지 않는 것으로 발견하였다. 2차 연구과정에서는 본 연구자가 2013년 5월 27일부터 6월 5일까지 직 장인 224명과 군부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군무원 55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여 구조적 타당성 과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일에 대한 상황적 동기와 기본심리욕구와의 관계에서 상황적 동 기가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요인 중 무동기가 높은 수준 일 경우 기본심리욕구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otivational scale for business employees regarding their work. The scale was properly modified from a situational motivation scale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In order to perform such a study,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303 regular business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companies in a metropolitan area that had more than 100 employees. Based on the findings that two out of sixteen questions could not be grouped with four factors, we concluded that Factors 1 and 3 could consistently be grouped together as one factor from the four that were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However, we also came to the conclusion that Factors 2 and 4 could remain as individual factors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verify the structural validity and reliability, we cond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224 employees in businesses that hired more than 100 workers in a metropolitan area and 55 civilian employees working in the military.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ituational motivation towards work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situational motivation, the greate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However,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a high level of amotivation among subfactors lowers the level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