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일본에서 발표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에 관해 고찰해 보기로 한다. 교육학의 기초분야 연구에 대한 위기가 회자되는 최근의 한국 상황을 인식하면서, 일본의 연구자들은 어떤 주제와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연구방법을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일본의 교육사 연구자들이 몸담고 있는 학계의 상황 및 이들이 매년 개최하는 교육사학회의 분위기도 전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단지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을 살펴본다는 단순한 궁금증 해소를 넘어, 같은 동양 문화권의 인접 국가이면서 서로 다른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생긴 교육사연구 및 교육사학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사연구와 학회활동의 지점과 방향을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trend o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Japan after the mid 2000s. I examine the Japanese researchers`s research topics and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ademic journal. Also, I try to understand the academic circumstances through the programs of the academic conference.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o expand the research spectrum of historical studie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verall images of the educational histo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before now, it is ascending the interests to the people``s history, social history, and life history that has been research methods of other fields. To reenact the vivid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past, these research methods should be used and applied i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pool the primary sources. A proper view of history is based on the exact record of the past. To collect and organize record of the past, we look for the state aid and the inquiring mind of the resear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