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22.140
18.119.122.140
close menu
KCI 등재
한일 문말형식의 증거성과 의외성 기능- "것이다"와 "のだ"를 중심으로-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on Sentence-Final Predicates in Japanese and Korean: A particular attention to "Kes-ita" and "Noda"
김정민 ( Joung Min Kim )
인문연구 66권 27-48(22pages)
UCI I410-ECN-0102-2013-000-00199702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고는 언어유형론 분야의 증거성(evidentiality)과 의외성(mirativity)의 개념을 참고하여 한국어의 문말형식 ``것이다``와 형태·통사적으로 유사한 일본어의 ``のだ``를 대조 고찰한 것이다. 본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 ``것이다``와 ``のだ``는 정보의 출처, 경로를 반드시 언어적으 로 특정하지는 않지만, 해당 명제가 명시적 또는 비명시적 증거(근거)에 의한 정보라는 것을 표시해 주는 증거성 표지의 기능을 갖는다. (Ⅱ) ``のだ``는 증거를 바탕으로 한 (ⅰ)사태 발생의 원인에 대한 (역)추론, (ⅱ)앞으로 벌어질 사태에 대한 추론, (ⅲ)제 3자의 심리·내면 상태에 대한 추론을 나타낸다. 반면에 ``것이다``는 (ⅰ)과 (ⅲ)의 용법은 ``のだ``에 비해 제한적이고, (ii)의 용법은 ``-ㄹ/을 것이다`` 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Ⅲ) ``것이다``와 ``のだ``는 화자가 지각(경험)한 사태에 대한 놀람과 뜻밖임을 표시하는 의외성의 의미성분을 갖는다. 본고는 ``것이다``와 ``のだ``를 대조분석한 선행연구가 주로 두 형식의 용법에 관한 기술적인 설명에 치우진 경향이 있었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두 형식의 기능적 유사성과 차이점에 관해 이론적인 접근 방법으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의 결과가 비교적 최근에 논의가 진행되어 아직까지 연구 성과가 많이 축적되지 않은 언어유형론의 증거성 연구 분야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kes-ita`` in Korean and its Japanese counterpart ``noda`` and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Ⅰ) Both ``kes-ita`` and ``noda`` can serve the function of evidentiality which signals to the presence of some evidence for a proposition or statement, whether it is a linguistic(visual) or non-linguistic(visual) one. (Ⅱ) ``Noda`` encodes inferences based on some evidence, such as (ⅰ) inference of the reason for the past event/state of affairs, (ⅱ)inference of the conclusion of the event which will happen in the near future, and (ⅲ) inference of the others` internal state. In contrast, the functions of (ⅰ) and (ⅲ) coded by ``noda`` above are relatively restricted in Korean ``kes-ita``. As for (ⅱ), however, an inference based on general knowledge or common sense is marked by ``-l kes-ita`` preceded by the irrealis adnominalizer -l in Korean. (Ⅲ) Both ``kes-ita`` and ``noda`` are extended to the mirativity which refers to a new, unexpected information to the speak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