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이 그린 그림의 연구를 통한 그리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포괄적 인지 활동의 분석
The Analysis of Comprehensive Cognitive Activities Done in Drawing Process by the Study of Children`s Drawings
유택상 ( Taek Sang Yoo )
조형미디어학 15권 1호 103-112(10pages)
UCI I410-ECN-0102-2012-650-00325842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그리기 지도의 가이드라인을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아동이 그린 그림들을 연구하여 그리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포괄적 인지 활동의 유형을 도출하고자한 시도이다. 연구의 결과 그리기 활동을 통해 촉발되는 인지적 활동의 유형을 ``내용``과 ``과정``의 두 가지 관점에서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그림의 내용``의 관점에서는 ``외부``, ``외부의 변형``, ``내면의 표현`` 그리고 ``구성물의 구축``이라는 네 가지 상위 유형이, 이어 ``그림의 과정에 관여하는 인지적 사고``의 관점에서는 ``자동화된 그리기``, ``전개적 그리기`` 그리고 결과물의 구성에 집중하는 ``조율하는 그리기``의 세 가지 상위 유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 될 수 있는 그리기 교육의 참고점은, 그리기의 내용에 있어서는 외부 대상에 대한 단순 묘사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1)대상과 관련하여 아동이 갖는 개념, 특정 부분이나 관점의 주목, 상황의 포괄 및 정서 투사를 통한 외부의 변형 2)사고 표상, 상상, 회상, 표출과 같은 내면적 내용 3)구성물의 표현이나 구성의 실험이나 장식과 같은 구성물 자체로 확장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그리기 교육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는 점과, 그리기의 과정에 있어서는 대상의 묘사나 내면의 표출과 같은 자동화에 국한되어져서는 안 되며 1)기 인지된 내용의 표현, 그리는 과정에서 인지되는 내용의 표현, 파편화된 내용의 조직화 구축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얻어지는 인지적 도출 그리고 구축된 결과물을 통해 얻어지는 인지적 파악과 2)도출 결과의 정리 및 구성 실험을 행하는 시각적 조율로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확장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그리기 교육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주제, 대상, 관점 및 표현 방법과 관계되는 광범위한 그리기 사례의 결과물을 통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포괄적 인지 활동이 갖는 의미를 광범위하게 탐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과 본 연구의 결과가 포괄적 인지 능력의 육성을 위한 그리기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duction of guidelines for guiding drawing for children. I studied children`s drawings to figure out the comprehensive cognitive activities done in draw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 found the types of comprehensive cognitive activities done in drawing process from two point of view, the subject and the process. From the view of subject I found there are four top types: outer thing, deformed outer thing, inner thing, and construction of work. From the view of process I found there are three top types: automated process, developing process, and tuning process. Useful guidance related to the subject for guiding drawing for children deducted from this research are Instead of overemphasising on realistic depiction of subjects, following approaches should be encouraged and the teaching method supporting those approaches should be developed: 1) the deforma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ncept children have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 the concentration on parts or point of view, the depiction of the situation, and the projection of emotion 2) representation of thought, imagination, retrospection, and expression 3) experiment in expressive and compositional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Useful guidance related to the process for guiding drawing for children deducted from this research are Instead of overemphasizing on automated process of depiction or expression, drawing process should be expanded as follows and the teaching method supporting those expanded process should be developed: 1) the process of displaying cognitive contents pre-perceived, being developed in process, acquir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structured by cognitive fractions, and acquired through the constructed entity 2) the arranging and experimenting process of visual components to create balanced entity. The meaning this study lies in its first trial to analyze comprehensive cognitive activities studying drawing examples made by children in wide scope with different theme, subject, point of view, and expression and also in its applicability in developing the guidelines of drawing guidance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cognitive abilities for childre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