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후보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의 수퍼바이지 행동 척도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pervision Behavior Scale for supervisees in play therapy sessions
김지연 ( Ji Youn Kim ) , 김광웅 ( Kwang Woong Kim )
UCI I410-ECN-0102-2012-180-003242020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 행동의 구인을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수퍼바이지 행동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놀이치료자 164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요인분석, Cronbach a,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국내 놀이치료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행동은 전체 6개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37개 문항이 탐색되었다. 둘째, 수퍼바이지 행동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 내적합치도 계수는 .86이었으며 하위요인들은 .60 ∼ .83수준이었다. 셋째, 본 척도는 Vespia 등(2002)이 개발한 수퍼비전 유용성 척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준거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 수퍼바이지 행동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놀이치료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경험에 근거하여 수퍼바이지 행동 척도를 개발하였으므로 수퍼바이지 교육과 훈련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upervision behavior, and to develop a supervision behavior scale for play therapist supervisees. Among the 208 therapists from whom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 total of 164 therapists with 5 or more sessions of private supervision experience were selected for us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ronbach 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inal supervision behavior scale consists of 37 items that are further categorized into 6 sub-variables. The reliability of total score(Cronbach a) was .86,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variables was .83 to .60. We analyzed the correlation with the supervision utility rating form developed from Vespia(2002) in order to confirm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upervision behavior scale and the results indicate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introduction of a construct factor of supervision behavior for supervisees and the abilit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lay therapy supervision in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