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103.204
3.147.103.204
close menu
}
KCI 후보
상담관계의 두 가지 측면: 작업동맹과 실제관계
Two Perspectives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orking Alliance and Real Relationship
최한나 ( Han Na Choi )
인간이해 31권 2호 85-101(17pages)
UCI I410-ECN-0102-2012-370-002988990

본 연구는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형성하는 상담관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상담관계에 대한 모호하거나 편협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담관계와 관련된 연구들은 상담관계의 한가지 특성으로 이해될 수 있는 작업동맹에 국한되어 있으며, 그 용어에 있어서도 작업동맹을 치료적 동맹, 혹은 치료적 관계라는 용어와도 혼용하여 사용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측면 중에서 작업동맹과 실제관계에 대해 변별적으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작업동맹과 실제관계에 대한 개념, 연구동향, 그리고 상담실제에서 해당 개념들의 측정에 대한 항목으로 나눠 경험적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담관계의 상담자-내담자 간 인식차이, 상담과정을 통한 상담관계의 발달적 특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작업동맹과 실제관계 간의 상호관련성 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상담관계에 대한 세분화된 이해를 높이고 상담자들을 위한 임상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rapeutic relationship has been confused with working alliance or therapeutic alliance in previous studies on counseling relationship. In this paper, we explained how these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and why they have been used with confusion. We attempted to clarify therapeutic relationship using two primary perspectives: working alliance and real relationship, which are similar but theoretically different. We provided the definitions of working alliance and relationship, research trend, and empirical research in the related field. We particularly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unseling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change of therapeutic relationship across the counseling sessions,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real relationship.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