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시장 개방에 대해 쌀의 민족문화적 중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의 관련, 우리 쌀의 우수성과 건강상의 문제, 식량 주권 등을 강조하며 쌀 농사를 지켜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와 관련하여 다음 세 가지를 주장하고자 한다. 첫째, 쌀은 한국인의 민족적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는 일본에서와 마찬가지로 근대에 창출된(invented) 것이다. 둘째, 농사, 특히 쌀 농사는 국가적으로 증산을 위한 노력이 집중되면서 자연에 대한 외경이나 생명에 대한 존중 등을 상실하였으며 화학비료와 농약의 대량 사용, 수리시설의 확충, 간척, 기계화 등의 자본 투입을 통해 철저히 계량화, 공업화되었다. 이러한 농업의 왜곡은 새만금 사업이라는 엄청난 모순에서 잘 드러난다. 셋째, 민족주의 담론이나 이미 공업화된 농업을 더 한층 합리화하고 대규모화하는 노력으로는 쌀 수입 개방이나 쌀시장 개방에 대한 대응은 물론 식량안보에도 한계가 있다. 세계화의 물결에 대한 대응은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넘는 세계화된 전지구적 협조가 필요하다.
In the face of mounting pressure to open rice market, it has been strongly argued that rice cultivation should be protected at any cost, because rice is not only good for health, food security, and environment, but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sense of national identity in Korea. This paper addresses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ly, rice as an indispensible part of Koreans` sense of identity is a relatively recent idea` it is an instance of invented tradition. Secondly, rice cultivation has been increasingly industrialized. The colonial period and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under Part regime saw the application of modern scientific and engineering methods such as mechanization, extensive irrigation, heavy use of chemical fertilizers and insecticides, reclamation, etc.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reveals the extent to which Korean agriculture lost the sense of being in harmony with or awe of nature. Thirdly, nationalist discourse on rice or increased industrializaiton of agriculture, therefore, cannot become the answer to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 farmers. What is needed is the realization of the global nature of the problems and efforts at cooperation beyond the national b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