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부모감독이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중고등학생 54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감독이 청소년의 자율성에 영향을 주고 유능성과 관계성을 거쳐 행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감독이 청소년의 유능성과 관계성 및 행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monitoring,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in Korean adolescents. We surveyed 549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l is appropriate in terms of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 based on the valid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model, the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has influence on autonomy that has a subsequent effect on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se has a further influence on happiness, Parental monitoring also has a direct influence on competence, relatedness, and happiness. In conclusion, we can identify the conditions to increase adolescents`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and discuss the implication from the present study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