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99.80
18.218.99.80
close menu
KCI 등재
박현기의 "비디오톨탑"에 대한 재고 -작가의 유고(遺稿)를 중심으로-
Reconcideration about Park, Hyun-Ki`s video tetem pole -Focused on the Posthumous Papers of the Artist-
이원곤 ( Won Kon Yi )
UCI I410-ECN-0102-2012-620-00163016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비디오아티스트 박현기의 대표작 ``비디오돌탑``시리즈 작업의 제작/탄생의 정신적 배경을 새로운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결과들에 대한 요약과 함께, 작가의 사후에 발견된 제작노트에 드러난 제작의도를 비교분석함으로서 비디오돌탑의 탄생과정의 재구성 및 배경을 분석/재조명한 것이다. 박현기의 ``비디오돌탑``작업에 대해 국내외의 평론가들은 대체로 ``한국에서 자생적 탄생한 비디오아트``라는 점과 비디오토템, 한국적 미니멀리즘, 모노하의 영향 등으로 요약되는 평가를 내린 바 있다. 그런데 최근에 발견된 작가의 제작노트를 보면, 작가 본인은 이와 같은 기존의 평에 대해 상당부분 이의를 제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작업이 70년대 한국적 모더니즘의 환경에서 도출될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유년시절 이래의 문화적 경험과 한국적 정신문화의 원초적 근원에 대한 갈망과 탐색의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작가의 생업이었던 건축가로서의 입장에서 접근한 시각과 구축적 공간의 특성도 비디오돌탑의 이해를 위해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결론적으로 박현기의 비디오돌탑은 서구문명의 그늘아래 고사해 가던 한국의 정신문화를 소생시키고자 했던 그의 노력과 또 비디오와 같은 서구의 테크놀러지에 대한 동경과 반성이 교차하면서 만들어낸 토템폴- 실제와 가상, 원시의 영적체험과 첨단테크놀러지에 의해 가능해지 가상성에의 접근 등 대립되는 두 세계의 실상의 반영이 교차하면서 구축된 설치물이라고 평할 수 있다.

This study inquire into the origin and spiritual background of Park, Hyun-Ki`s (so called) ``video stone tower works` in late 1970``. About this works, there are so many interpretation through essay and thesis from Korea, Japan and western society scholars that can be abbreviated to "poetic dialectic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archaic and futuristic", ``Mono-ha like totem pole``, ``korean minimal art`` and so on... By the way, in recently founded posthumous a manuscript written in his own hand, we can confirm that he strongly insist his work is not the result of ``mono-ha school`` or ``1970`s korean modernism`` but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f traditional and spiritual world, and established through the long terms asceticism, for example, return to his hometown Daegu, exploration for traditional culture, and encounter with hi-technology, video. And on the other hand, the aesthetic conception and visual principle of his video installation is constructivism or immaterial structure through the real & virtual, actual & refle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