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que on the Justification by faith of New Perspective on Paul: -A Comparison between N.T. Wright and John Calvin-
샌더스가 언약적 율법주의를 주장한 이후에 그의 입장을 수용한 일군의 학자들이 바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주장하면서 종교개혁자들의 이신칭의를 비판하고 있다. 샌더스의 언약적 율법주의를 수용하면서 종교개혁자들의 이선칭의를 집중적으로 비판하는 대표적인 학자가 톰 라이트이다. 라이트는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께서 가지고 계시는 속성으로 자신의 언약을 지키는 신실성이라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율법의 행위는 일반적인 행위가 아니라 유대 교의 율법의 행위로서 이방인들과 유대인들을 구별시켜 주는 안식일 준수, 음식법 규정, 할례 등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신칭의는 현재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이라고 선언하는 교회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마지막 심판날에는 성령의 인도를 따라 행한 성도의 행위에 따른 심판에서의 변호라고 말한다. 이러한 주장은 은혜로 시작하나 인간의 행위로 마치는 로마가톨릭의 신인협동설과 유사한 주장이 된다. 그러나 가장 대표적인 종교개혁자인 칼빈은 라이트의 주장과는 아주 다른 입장을 개진하고 있다. 칼빈은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의 속성으로서의 의와 그 속성에서 나오는 전가로서의 의의 양면성을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인간이 타락하여 구원받을 가능성이 없으므로 하나님의 의의 전가를 통한 구원의 길이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설명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칼빈은 율법의 행위를 의식 법으로 제한하는 주석전통을 알고 있었으나, 오히려 로마서과 갈라디아서의 문맥에서는 구원을 얻으려는 모든 인간의 행위로 해석한다. 그리하여 인간의 행위를 통한 구원의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이신칭의는 하나님의 의의 전가를 통한 구원의 확신이며, 이 칭의는 성령의 역사를 통한 성화의 과정과는 구별된다. 칼빈은 의의 전가를 통해 칭의와 함께 성령의 역사를 통한 성화의 과정이 동시에 시작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구원은 칭의를 통해서 오고 성화를 통해서는 하나님의 상급이 온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행위는 구원의 근거가 될 수 없으나, 구원의 열매로 나타나야 한다.
Tom Wright is arguing a new view of justification through his proper study sharing Sanders covenantal nomism. He understands the first century Judaism as the background of the new view of justification. He offers his fresh points when he makes this covenantal nomism the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Pauline epistles, particularly Romans and Galatians. He argues that the phrase the righteousness of God is His own quality which keeps His covenant faithfully. God s righteousness is seen in terms of covenantal faithfulness. The works of law in Romans and Galatians are the national badges which marked out Jews from their Gentiles in the Covenant of Abraham - Circumcision, Sabbat, dietary regulations. For Wright, Justification is the declaration that one is already in the people of God. Therefore, it is not concerned with soteriology but with ecclesiology. The justification consists of two categories. The first is present justification which depends on the believer s faith declaring that he is the member of the covenant. The second is future justification which depends on the whole life s performance. Wright s studies contribute toward broadening the studying horizon of Paul s epistles at some points. But the most important fault of his studies is his denial of the imputation of Christ s righteousness. We can t discover the clear statement about the original sin and universal guilt of whole human beings in his writings. But Calvin explicitly explained the righteousness of God, works of law, and the justification by faith on the basis of Romans and Galatians from the Reformational viewpoint. His arguments gives believers the assurance of salvation in their consciences. He also stresses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accompanying the justification. Accordingly we must preserve the right teaching of Calvin s justification while we extend the sphere of study considering the problems proponed by the NPP studies.
I410-ECN-0102-2012-230-00181635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7권 2호 ~ 27권 2호 |
예루살렘통신 |
114권 0호 ~ 114권 0호 |
활천 |
793권 12호 ~ 793권 12호 |
|
41권 0호 ~ 41권 0호 |
|
29권 3호 ~ 29권 3호 |
|
56권 0호 ~ 56권 0호 |
종교학연구 |
36권 0호 ~ 36권 0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91권 0호 ~ 92권 0호 |
예루살렘통신 |
113권 0호 ~ 113권 0호 |
활천 |
792권 11호 ~ 792권 11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
56권 0호 ~ 56권 0호 |
|
25권 2호 ~ 25권 2호 |
|
41권 0호 ~ 41권 0호 |
|
39권 0호 ~ 39권 0호 |
|
47권 0호 ~ 47권 0호 |
활천 |
791권 10호 ~ 791권 10호 |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
20권 0호 ~ 20권 0호 |
|
24권 2호 ~ 24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