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은, TV나 인터넷과는 달리 독자의 필요에 의해 능동적인 구매가 이루어지는 정보 체계인 만큼, 독자를 위하여 매거진의 시각적 이미지를 극대화함으로써,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거진의 시각적 이미지 극대화를 위한 화보의 공간스타일링에 관한 연구이며, 그 중에서도 최근 보이고 있는 여러 문화현상 중, 80년대 복고현상을 그 연구주제로 삼고자 한다. 이에 80년대 디자인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 멤피스에 그 근원을 두어, 선행연구에서 멤피스의 특징으로 표현된 상징적 언어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상징적 언어의 특징이 보이는 매거진 공간스타일링을 그 사례로서 고찰함으로써, 그러한 매거진 공간이 가지는 현대적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매거진이 현 시대의 사회문화현상을 반영함을 바탕으로, 첫째, 매거진 공간스타일링이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통한 현대사회현상의 재조명이라는 점과 둘째,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실제적인 공간이 아닌, 사진 이미지를 위하여 연출된 매거진 공간에서의 공간스타일링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대한 논제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형예술로서의 매거진 공간 스타일링에 대한 심도있는 주제 분석과 표현방법의 발전뿐 아니라, 이를 통해 매거진 공간스타일링이 보다 감성을 자극하는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Magazine differs from TV and internet, which is an information system, enables active purchase according to reader`s need. Therefore, for it`s readers, it maximizes its visual images, delivers the subject of magazine effectively. This study is about magazine spacestyling for maximization of magazine`s visual image as well as eighties style. It is based on Memphis, which is a trailblazer in the eighties design history, the former researchers draw symbolic languages of Memphis through literature review. Also, this consider magazine spacestyling characterized by symbolic languages of former studies, tries to find some significances which applies to thesedays spacestyl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revives the present-day through new approach-magazine spacestyling. Second, it also discovers magazine space directed for visual image, not as permanently existing realistic space, as new research agenda. Through this research, it is anticipated the deeper analysis of magazine spacestyling as one field of the plastic art as well as efforts to develop various expression method. So, the magazine spacestyling could do a central role of aggressive communication stimulates the reader`s e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