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타일과 스타일리시의 특질을 해명하고, 스타일리시의 언어를 통해 언어이미지와 색채이미지를 조사 분석하는 검증연구이다. 본조사는 여러 면에서 생활과 가치관의 변화가 빠른 서울·수도권으로, 조형(造形) 관련 교육 유경험자인 20~4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1차조사는 스타일리시의 언어 이미지를 도출하기 위해 디자인 분야에서 색채와 이미지 사이의 상관성 연구에 주로 이용되는 I.R.I형용사이미지스케일로 조사하였다. 2차 조사는 공간에서 스타일리시의 시각이미지를 도출하기 위해 색채에 한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스타일리시의 언어이미지는 개성적인, 멋진, 세련된, 감각적인, 현대적인, 앞서가는, 우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이미지는 성별과 연령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타일리시의 색채이미지 중 색채배색에서 남성은 부드럽고 동적인 `경쾌한` 배색, 여성은 딱딱하고 정적인 `모던한` 배색으로 인식하였다. 채도-명도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성은 저채도 저명도로 인식한 반면, 여성은 중명도 고채도로 인식하였다. 또한 연령에서 20대는 고채도, 30대는 중채도, 40대는 저채도로큰 차이를 보였다. 공간스타일 배색에서 성별과 연령 모두 미니멀 스타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에서 `스타일리시`의 색채이미지를 조사분석하여 검증한 것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향후 스타일리시한 공간 연출, 스타일리시한 디자인 마케팅을 위해 스타일리시의 색채이미지는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ains the special character of `style` and `stylish`, surveys and analyzes verbal image and color image through term of `stylish.` The region of this survey is restricted to seoul and capital region where rapidly change of values and lifestyle in many way, to people who had been taught about art education, and aged between 20~40 adult, male and female. The first survey is for finding out verbal image of `stylish`. Also it`s search tool is IRI adjective image scale which is used in interrelation study in design field such as trend analysis and color scheme and so on. The next survey is restricted in only color category for getting visual image of `stylish` among space. As a result, the verbal image of `stylish` is a intuitional feeling made of individuality, brilliant, chic, sensitive, modern, progressive, and graceful. Also this verbal image has no differences between sex difference and age gap. Male recognized soft and dynamic `light` scheme as a `stylish` and female did hard, and static `modern` scheme as one. In the chrome-value par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sex and age gap, such as male prefer low chrome, low intensity as `stylish` whereas female prefer midium chrome, midium intensity. In the chrome-value par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sex and age gap, such as male prefer low chrome, low intensity as `stylish` whereas female prefer midium chrome, midium intensity. In age categories, 20s chose chrome, 30s did midium chrome, and 40s did low on. In space style color scheme, all recognised minimal style as the best `stylish` style. This study could be a great foundation for proving of color image of `stylish` in a space. Also, this study should direction to new design in design marketing field, or `stylish` space styling in space design field from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