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숙련 놀이치료자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about Supervision Experience of Experienced play-therapist
유미숙 ( Mee Sook Yoo ) , 최명선 ( Myung Seon Choi ) , 정윤경 ( Yun Kyoung Chung )
UCI I410-ECN-0102-2012-370-001018091

본 연구는 숙련 놀이치료자들이 장기간의 수퍼비전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퍼비전 경험이 80회 이상된 놀이치료사 8명을 면접하고, 녹음된 면접의 축어록을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배움과 성장의 경험`이었고, 놀이치료사 자격 규정에 의하여 하나의 과정으로 수퍼비전을 받게 되는 것과, 치료 시작에 대한 책임감과 부담감이 인과적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인 배움과 성장경험의 하위 범주로는 전문적인 놀이치료의 기술을 배우고, 관점과 철학을 배우며, 치료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치료사로 성장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지속하는 것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배움과 성장의 경험 안에서 수퍼바이지는 내면의 변화를 위한 노력과 수퍼비전과 수퍼바이저에 대해 현실화 시키려고 노력하는 개인 내적인 측면에서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전문가로서 성장하기 위한 노력, 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 상황의 변화를 위한 노력과 같은 행동적인 측면에서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였다. 맥락적 조건은 수퍼비전의 일을 선택하는 조건과 수퍼바이저를 선택하는 조건, 사례를 선택하는 조건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었으며, 중재적 조건으로는 수퍼바이지의 특성과 수퍼바이저의 특성, 수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제시되었다. 다양한 조건들의 상호작용과 중심현상을 통해 놀이치료사는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놀이치료사로의 전문적 성장과 인간정 성장을 하고, 개별화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지속적으로 의존하는 융합적인 관계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xploring factors and processes of play-therapist supervision. Eight play-therapist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s the result of analysis, our major phenomenon was the experience of learning and growth. Supervison depended on the requirement of play-therapists as a course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were casual relationship. A sub-category of it has needed for learning professional play-theraphy and a point of view and philosophy, and enhancing understanding of himself(or herself) as a play-therapist, and maintenance of behavior assisted for growing as a play-therapist. In this learning and experience of growth, supervisee employs some strategies for making an effort to change whith in him(or her) and action/interaction that is making an effort to realize supervision and superviser in the mental facets. Also he (or she) employs strategy for behavioral actions/interactions such as an effort growth of a expert and an attempt to solve inner problem and an effort for changes of some situations. These conditions of contexts can be divided into how his(or her) work of supervision chooses and what choice restrictions of cases are. Arbitrative conditions are charateristics and relationship of an supervisee and superviser. Through interactions of various conditions and central phenomenons, a play-therapist has grew up expertly and humanly as a competent one who has the expertise. With that, he(or she) has experienced indivisualization, and partially can experience amalgamative relationship depended on continuous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