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이선희 ( Sun Hee Lee ) , 하은혜 ( Eun Hye Ha )
UCI I410-ECN-0102-2012-370-00111961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63명(남학생 237명, 여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척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하위요인 중 적극적 대처능력, 소극/회피적 대처능력, 그리고 공격적 대처능력이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소극/회피적 대처능력과 공격적 대처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The subjects were 463 children(male 237, female 226) of 5th or 6th graders in Seoul. They were assessed by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the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Scale and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social anxiety. Second, active, passive/avoidant and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social anxiety. Finally, passive/avoidant and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