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놀이치료에서 놀이치료자들이 경험한 조기종결과 그에 대한 대처를 알아보았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내 20개 놀이치료 기관에 근무하는 37명의 놀이치료자들을 대상으로 이뤄졌고 연구대상자들은 조기종결 경험과 대처에 대해 자기보고식(self report)으로 기술하였다. 응답 내용은 그 내용이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개념들로 각각의 진술을 분류하였으며, 그 내용을 전공 교수 1인, 박사과정 이상의 놀이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한 놀이치료자 3인의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응답 내용을 유목화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치료자들은 조기종결을 `합의 없는 일방적인 종결`, `상담목표가 달성이 안 된 종결`로 정의하였다. 놀이치료자들이 경험한 조기종결 경험 내용은 크게 부모, 환경, 치료자, 아동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 중 부모 변인과 치료자 변인은 부모 변인 10개와 치료자 변인 3개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면, 부모변인은 `치료자에 대한 신뢰`, `상담 기간`, `상담에 대한 이해`, `상담 동기`, `개인적 문제`, `상담 기대`, `상담 만족도`, `상담에 대한 확신`, `주변상황`, `기타`의 범주로 분류되었고, 치료자 변인은 `개인적 요인`, `상담의 전문성`, `상담 경험`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놀이치료 조기종결 상황에서 경험하는 심리상태는 크게 `치료자가 느끼는 심리상태`와 `내담자에 대한 심리상태`로 분류되었다. 그 중 치료자가 느끼는 심리 상태는 사고와 정서 2개로 분류되었다. 놀이치료 조기종결에 대한 대처 방법은 `내담자와 논의`, `교육 및 훈련`, `사회적 지지`, `치료자 노력`, `환경 변화`로 나타났다. 그 중 내담자와 논의는 상담 초기, 상담 중기, 조기종결 이전의 시기마다 대처방법이 다르게 나타나 각각으로 분류하였다.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premature termination that the play therapists experienced and their coping behaviors about premature termination. A total of 37 play therapists in Seoul and Gyeonggi were surveyed and they described the experience and coping behaviors about premature termination in a self-report format. Response contents divide into groups each statement as similar concept. The contents is categorized by examination and revision with one academic adviser and three play therapists who have play therapist` certification that is more than doctor`s cours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 Most of play therapists defines premature termination as `One-way termination without agreement`, `Termination which did not achieve a goal`. The contents of premature termination that the play therapists experienced is classified into parent, environment, therapist, child. Among them parent variable is classified into 10 elements and therapist variable is classified 3 elements. Looking at the contents, parent variable is divided into `Trust of therapist`, `A period of counseling`, `Understanding of counseling`, `Motive for counseling`, `Individual problem`, `Expectation for counseling`, `Satisfaction of counseling`, `Conviction of counseling`, `Surroundings`, `The others`. Therapist variable is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 `professionalism of counseling`, `experience of counseling`. At the premature termination situation, psychological state is classified into `Play therapist`s psychological state` and `Psychological state of client`. Play therapist`s psychological state is classified into `thought` and `emotion`. Coping behaviors about premature termination is classified into `Discussion with client`. `Education and training`, `Social support`, `Therapist`s effort`, `Environment change`. `Discussion with clien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erm as `early of therapy` and `middle of therapy`, `a previous to premature ter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