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최근 6개월 이내에 한 명의 수퍼바이저와 최소한 3회 이상의 개인수퍼비전을 받았거나, 현재 개인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놀이치료자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개인변인(성인애착, 발달수준)이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먼저 수퍼바이지의 성인애착에서는 성인애착의 하위변인인 의존, 친밀, 불안 중 불안이 자기개방을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지의 발달수준이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발달수준의 하위변인인 상담대화기술, 사례이해, 알아차리기, 상담계획, 인간적 윤리적 태도 중 상담계획이 자기개방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비전 과정변인(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특성, 작업동맹)이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먼저, 놀이치료 수퍼비전 시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특성에 따른 자기개방수준은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특성의 하위변인인 과업지향성, 매력성, 대인간민감성 중 매력성이 가장 유의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과업지향성으로 나타났다.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작업동맹의 하위변인인 목표, 과제, 유대 중 유대가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과제였다. 셋째, 놀이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개인변인(성인애착, 발달수준)과 수퍼비전 과정변인(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특성,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작업동맹의 하위변인인 유대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특성인 매력성, 발달수준의 상담계획, 작업동맹의 과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특성의 과업지향성, 대인간민감성 순으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upervisee`s self disclosure in play therapy supervis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12 play therapists who have individual supervision at least three times with more than one supervisor.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supervisee`s personal variables (adult attachment, development level) on self disclosure, it shows that anxiety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self disclosure among sub-factors related to adult attachment (dependence, closeness, and anxiety). In addition, counseling strategy influences self disclosure significantly in sub-factors of supervisee`s development levels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humanistic and ethical attitudes, emotional awareness, case conceptualization, and counseling strategy). Second, there are influences of supervision process variables (supervision style, working alliance) on self disclosure. In supervision style, it shows that two factors influence self disclosure. The most effective factor is attractiveness and another one is task oriented among sub-factors of supervision style. Furthermore, among sub-factors of working alliance (emotional bond, task agreement, and goal agreement) emotional bond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nd task agreement is the second one. Third, concerning the influences of supervisee`s personal variables (adult attachment, development level) and supervision process variables (supervision style, working alliance) on self disclosure, it shows that self disclosure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 order: emotional bond in working alliance, attractiveness in supervision style, counseling strategy in supervisee`s development levels, and interpersonal sensitiveness and task oriented in supervision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