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Leverage Structure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지난 1997년 금융위기는 기업들의 과도한 차입경영과 높은 부채비율이 한국경제의 근본원인으로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상장 제조기업의 부채비율의 변화 추이와 그 결정요인을 지난 1990년 이후 2006년 현재까지 17개년의 기간을 걸쳐 분석함으로써 금융위기 전후의 부채구조 변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그 일차적 목적을 두었다. 총부채비율은 기간별 구조로 나누어 각각 장기 부채비율과 단기부채비율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결정요인으로는 기업규모, 성장률, 유형고정자산, 총자산수익률, 영업위험, 이익변동률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부채비율이 금융위기 이후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정부의 시책이 올바르게 적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결정요인별 분석에서는 기업규모와 수익성 등에서 정보비대칭이론 및 자본조달순위이론이, 영업위험과 이익변동률에서 절충이론이 지지를 받았으며, 기간별 부채구조분석을 통하여 자산만기대응가설이 각기 지지를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everage ratio and determinants of it. There are a lot of empirical studies that Korean Industry innovated since 1997 financial crisis, but almost all of these papers have a little limits about analyzing sample years or corporations. Although 1997 financial crisis has had so important meaning to Korean Industry, it could not be analyzed systematically. O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how leverage ratio changed and what makes it different from FY1990 to FY2006 listed on KSE(Korean Stock Exchange) corporation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re are two main Capital Structure Theory for this study. One is Pecking Order theory insisted by Myers(1984), Myers and Majluf(1984), the other hypothesis is Static Trade off Theory. This paper hypothesized six factors could have some determinant to leverage. We find that all corporations declined their total leverage ratio after financial crisis period. we discerned it as Korean Government policy and corporation strategy changed well. With 500 employees, KSE corporations divided into two groups big and small company. The results show that Big company group has more leverage ratio than small one, so we could guess it as big corporations do debt financing more overly than small group. Using Fixed Effect Model by balanced panel data, the coefficient of ROA and Firm Size variables has almost all negative(-) with leverage. These results make assure that these determinants support Pecking Order Theory. On the other hand, Trade-Off Theory was supported by Earning Volatility and Business Risk. It could guess from Earning Volatility has negative(-) coefficient with leverage, and as same as Business Risk. Analyzing Before and After crisis, Firm Size variables has positive(+) coefficient to short-term liabilities, negative(-) with long-term liabilities. Tangible Assets are opposite to Firm Size. With these results, this paper also proved Korean Manufacturing corporations support Maturity matching hypothesis.
I410-ECN-0102-2009-320-00891900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저널 물 정책·경제 |
32권 0호 ~ 32권 0호 |
|
29권 5호 ~ 29권 5호 |
공공기관 현황편람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31권 2호 ~ 31권 2호 |
|
21권 3호 ~ 21권 3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
16권 3호 ~ 16권 3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478권 0호 ~ 480권 0호 |
손해사정연구 |
20권 0호 ~ 20권 0호 |
|
48권 3호 ~ 48권 3호 |
재정포럼 |
280권 0호 ~ 280권 0호 |
|
12권 3호 ~ 12권 3호 |
주간금융브리프 |
28권 19호 ~ 28권 20호 |
해양한국 |
2019권 11호 ~ 2019권 11호 |
|
33권 3호 ~ 33권 3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1호 ~ 17권 1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2호 ~ 17권 2호 |
이슈리포트 |
2019권 3호 ~ 2019권 4호 |
|
22권 3호 ~ 22권 3호 |
보험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9권 2호 ~ 2019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