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근대문학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와 결합된 학제적 연구로 그 경계가 한층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동향을 참조하여 이 논문은 문학과 정신의학 간의 학제적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문인보다도 정신질환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표출했던 소설가 권도옥(1959∼1998)의 작품세계에 대한 탐구가 이 논문의 목적이다. 권도옥은 스스로의 정신질환을 자신의 작품에 그대로 드러내면서 독특한 작품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현대소설사를 통해 권도옥의 소설만큼 정신질환의 문제가 소설 속에 집중적으로 구현된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권도옥은 다른 환자들과의 대화, 의사와의 상담 등의 다양한 정신질환 치료의 과정과 방법을 소설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곧 소설을 통해 자신의 정신질환을 치열하게 응시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권도옥은 1998년 자살했다. 그의 자살은 소설 쓰기를 통한 정신질환의 해결이 결국 실패에 이른 한 실례로 기억되고 탐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권도옥의 소설은 문학과 정신병,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탐문하는 소중한 임상자료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 studies on Modern Literature have moved onto Interdisciplinary study which is combined with other various fields of study. With reference to this tendency of study, this thesis tries an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literature and psychologic medicine. This thesis focuses on a female writer, Kwon, Do-ok, who killed herself at the age of forty in 1998. Kwon, Do-ok dealt with problems such as mental diseases and impulse of suicide in her only novel. This means that she tried to objectify and stare at her own mental diseases through writing her novels.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s, there aren`t any other novels that concentrate upon mental problems more than her novels. Kwon, Do-ok showed various processes and methods of medical treatments for mental diseases including conversations with other patients and interviews with psychiatrists in her novels. Especially since she started to have her mental breakdown, her novels focused much more on mental diseases and the impulse of suicide. In spite of these struggles, she eventually killed herself in 1998. Her suicide will be remembered as an example that the trials to overcome the mental disease by creative activities like writing a novel finally failed. However, because of her suicide itself, Kwon, Do-ok`s novels can be read as precious clinicaldata for the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literature and mental disease or ment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