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한국 폐경여성에서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양상과 전혈세포에서 IL-6 생산 및 골밀도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연폐경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하여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양상을 BsrBI RFLP 분석하였고 요추 및 대퇴 근위부에서의 골밀도를 DEXA로, 혈청 OST, CTX,를 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2일간 LPS 첨가 또는 비첨가하여 배양된 전혈세포에서의 배양액내 IL-6를 효소면역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에 의한 GG, CG, CC 유전자형의 CTX, OST 농도 차이가 없었다. LPS 자극 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형에 따른 전혈세포에서 IL-6 생산은 차이가 없었다 정상골밀도를 가진 여성, 골감소증 여성, 골다공증여성에서 IL-6 유전자형의 분포양상의 차이가 없었고 LS에 의한 자극여부에 관계없이 골밀도상태에 따른 전혈세포엣의 IL-6 생산은 차이가 없었다. 전혈세포에서의 IL-6 생산은 요추와 대퇴근위부에서의 골밀도 및 혈청 OST, CTX 농도사이에 상관계가 없었다.
결론: 한국여성에서 IL-6 유전자 G(-634)C 다형성은 골밀도 및 전혈세포에서의 IL-6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G(-634)C polymorphism in interleukin(OL)-6 gene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an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this polymorphism, bone mineral density (BMD), the production of IL-6 from whole blood cells. Methods: The G(-634)C polymorphism in the IL-6 gene was examined by BsrBI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in 196 postmenopausal Korean women, whole blood cells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lipopolysaceharide(LPS) for 2 days and IL-6 produced by these cell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erum osteocalcin, and CrossLaps(CTX) were measured by immunoassay,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The distributions of IL-6 BsrBI polymorphism were as follows; GG 6.6%, CG 40.3%, CC 53.1%. No differences in BMD of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serum OST and CTX levels across the IL-6 production from whole blood cells among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postmenopausal women, Regardless of LPS stimulation, the IL-6 production from whole blood cells did not correlate with BMD of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or serum levels of bone turnover markers Conclusion: The IL-6 G(-634)C polymorphism is not associated with BMD or IL-6 production from whole blood cells in Korean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