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0.233.2
18.220.233.2
close menu
}
KCI 후보
젠더화된 사랑-낭만적 사랑,모성애-과 보살핌노동: 여성복지정책적 함의
Gendered Love -Romantic Love and Maternal Love- and Caring Labour: Its Implications for Women`s Welfare Policy
김영란 ( Kim Yeong Lan )
사회복지정책 18권 199-221(23pages)
UCI I410-ECN-0102-2009-690-002420328

본 연구는 낭만적 사랑과 모성애가 사회적 변화에 따른 문화적으로 특수한 형태를 지닌 사랑, 즉 젠더화된 사랑(gendered love)임을 보여주고 나아가 낭만적 사랑과 모성애가 여성의 노동과 맺는 관계를 추적해 봄으로써 공/사영역에서 여성노동의 위상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여성의 보살핌노동과 관련하여 여성복지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성, 사랑과 관련된 인간의 욕구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방식의 체계들로 등장하였다고 한다면, 18세기 이후 사회적 상황은 그 이전시대와는 달리 이 낭만적 사랑과 모성을 기반으로 남녀간의 사랑을 규정하고 표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핵가족만이 아닌 다양한 가족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노동시장의 유연화(flexibility)에 의한 노동불안정 증가 등으로 남성=가장(breadwinner)/여성=보살피는 자(caregiver)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해체되고 있으며, 성의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 낭만적 사랑과 모성애를 기반으로 한 남녀고나계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기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변화를 기반으로 젠더의 장벽을 넘어 새로운 남녀간의 사랑, 보살핌노동을 고찰해 보았다. 왜냐하면 우리사회에서 낭만적 사랑이 신비화되고 모성이 하나의 신화로 이용될 때 여성의 노동은 비가시화되거나 폄하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성노동이 젠더화된 사랑을 기반으로 할 때 여성은 여전히 사회에서 불평등한 구조 속에 있을 수밖에 없으며 사회복지정책에서 여성복지는 여전히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게 될 것이다.

The study tries to show that romantic love and maternal love is the love that has specific form culturally according to social change, that is, gendered love. It, moreover, attempts to present the position of women`s labor in public and private areas by pursu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mantic love, maternal love and women`s labor. There appeared sex and love-related human desire as various forms and systems in our history, so that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was prescribed and standardized by the social circumstances after 18C in the different way, that is, on the basis of romantic love and maternal love. There are in the present society not only nuclear family but also various family styles, and the dichotomy (man-breadwinner, woman-caregiver) is broken up by instability of labor due to flexibility of labor-marke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based on romantic love and maternal love should be changed into a new method because of change of sex-consciousness. The study examines new man-woman`s love and caring labor on the basis of social change beyond the wall of gender. When maternal love is mysticized and used as a myth and also women`s labor is based on gendered love, women`s labor is not exposed and estimated very low. That is the reason why women cannot be still in the unequal social struc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