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우유 알레르기의 유발 및 제거시험을 통한 임상적 특성
A Clinical Study on Oral Milk Provocation and Elimination Test
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ye Young Yeum),정병주(Byeung Ju Jeoung),김규언(Kyu Earn Kim),이기영(Ki Young Lee)
UCI I410-ECN-0102-2009-510-004573425

목 적 :우유는 신생아와 영유아에서 가장 많이 섭취되고 있는 식품으로 우유 섭취가 증가됨에 따라 국내에서 우유 알레르기 환자가 증가되리라 생각된다. 우유가 알레르기의 원인인데도 모르고 먹이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원인이 아닌데도 금식시키는 경우도 있어 성장기 성장, 발육에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우유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이를 확인하는 일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 알레르기 크리닉에 내원하여 병력상 우유 알레르기가 의심되거나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상 우유 항원에 양성 반응을 나타냈던 환아 41례 가운데 21례를 대상으로 우유를 3-4방울 먹이는 극소량부터 시작해서 최고 250mL에 이르기까지 우유 경구 유발시험을 실시하였고, 이들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경구 유발시험을 실시하였던 환아 21례 중 우유 알레르기로 진단되었던 경우는 9례(43%)였다. 2) 대상 환자들 중에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나 병력에만 양성이었던 경우는 각각 11례, 6례였는데 경구 유발시험에서는 각각 2래, 3례에서만 양성이었으며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와 과거력이 모두 양성이었던 경우에는 4례 모두에서 경구 유발시험 양성을 보였다. 3) 우유 경구 유발시험시 유발된 중상은 두드러기가 7례(77.8%)에서 나타났고, 천식 및 비염 둥 호흡기 증상이 5례(55.6%), 복통, 설사 등 소화기 중상이 1례(11.1%)에서 있었다. 4) 증상을 유발하는데 필요하였던 우유의 양은 3-4방울 마시는 등 극소량으로도 증상이 유발되었던 경우가 1례(11.1%), 1-100 mL 사이가 3례(33.3%), 100 mL 이상의 우유를 마시고 증상이 유발된 경우는 5례(55.5%) 있었다. 결 론 :우유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환아는 우유 제거 또는 유발시험으로 확진하는 일이 중요하며 유발시험시 두드러기 등 피부 중상이 주로 나타났으며, 다른 식품보다는 알레르기 증상이 유발되는 데 많은 양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아 항원성은 높지 않음을 알았고 우유항원으로 실시한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만 양성으로 나타났던 경우보다 양성 병력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환아에서 유발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A Cow`s milk allergy(CMA) is one of common problems during first year of life. Though milk caused allergic problems, their parents didn`t know it, and gave milk to their children. But the parents don`t give milk to their children if they know it. Therefore it may cause problems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ose clinical features of milk allergy confirmed by oral provocation test. Methods : We carried out the retrospective study on 21 patients who had been performed oral milk provocation test at Yonsei university children`s allergic clinic. Results : 9 out of 2lcases(43%) showed positive milk oral provocation test.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 sign was urticaria, followed by respiratory symptoms and abdominal symptoms. The rate which past history and positive skin test corresponded to oral provocation test was very high(100%). Conclusion : The most valuable diagnosis of food allergy is oral provocation test. However, predictive value of allergy skin test and past history was very high in milk allerg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