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RH analogue와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 배란유도하였던 36명의 불임환자를 대상으로 성숙 난포에서 채취한 난포액 내 IGF-I, IGFBP-3, GH, estradiol 및 혈청 estradiol의 농도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난포액내 GH 농도와 난포액 내 IGF-I 농도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s=0.4740, p<0.05). 또한 난포액내 IGF-I 농도와 난포액내 IGFBP-3 농동와 GH 농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s=0.2195, p=0.19). 한편 난포액내 estradiol 농도와 GH, IGF-I 및 IGFBP-3 농도 역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난포액내 IGF-I은 GH과 같이 증가하며 난포액내 IGF-I 과 난포액내 IGFBP-3농도 역시 동시에 증가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여러 연구에서 지적했듯이 IGF가 난송에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난포의 성장을 촉진하며, 이런 IGF의 조직내 유용도는 IGFBP-3농도와 긴밀한 관계를 지니고, IGFBP-3의 농도는 난포의 성숙정도의 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앞으로 실험대상의 종류 및 수를 확대하고, IGF의 수용체, IGFBP protease의 활성도 및 혈청내 농도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면 보다 더 체계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ovary is known to be a center of paracrine and autocrine rehulating factors. IGF-I is a local regulator of follicular function and a poten stimulator of ovarian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synergy will the gonadotrophins, whilst GH may exert its effect by changing intra-ovarian IGF-I concentration. Inbiological fluids, IGFs are bound to specific, high affinity binding proteins(IGFBP). The IGFBPs are considered paracrine modulators of the action of IGF-I in the ovary. The aim of the study is to elucidate relationships amongst IGF-I, IGFBP-3, GH and estadiol in mature follicular fluids or serum. Thirty-six infertility patients who underwent ovulation induction program by GnRH agonist short or long protocol for in vitro fertilization (IVF)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st the concentration of IGF-I, IGFBP-3, GH and estradiol in follicular fluid or serum. These hormones were quantitatively anayzed by radioimmunoassay(RIA) or Immunoradiometric assay(IRM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IGF-I and GH, IGFBP-3 in follicular fluid. Therefore, GH tends to increase IGF-I levels in follicular fluid and IGF-I may functions as an important regulator of IGFBP-3 synthesis in follicular fluid, but IGFBP-3 is not likely to b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GH in follicular fl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