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69.23
18.216.169.23
close menu
SCOPUS
태아 융부기형의 산전진단에서 태아심축 ( Cardiac Axis ) 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Fetal Cardiac Axis in Screening of Fetal Cardiac and Extracardiac Intrathoracic Anomaly
김경수(KS Kim),박용원(YW Park),조재성(JS Cho),김태윤(TY Kim),최형민(HM Choi),임영구(YG Lim),김재욱(JU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89112

1990년부터 1995년 까지 5년간 태아의 선천성 심장기형 및 심장외 흉부기형으로 산전진단된 예중 초음파소견의 검토가 가능하였던 선천성 심장기형 38예, 태아 심장외 흉부기형 10예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심축을 측정하였으며, 1995년 7월부터 1995년 10월 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를 받은 임신 16주에서 임신 40주 사이의 정상태아 임신 205예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정상태아의 심축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53예의 평균 제태연령은 27.8주로서 16주에서 42주의 범위를 보였으며 정상태아군과 선천성 심장 및 흉부기형 태아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정상태아의 평균심축은 39。이며 표준편차는 9.2。였으며 20。에서 65。의 범위를 보였으며, 제태연령에 따른 심축의 차이는 없었다. 3. 심장 또는 흉부질환 태아의 평균심축은 42.1。표준편차는 28.9。였으며 -34。에서 127。의 범위를 보였으나, 두 군사이의 심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정상태아 심축의 2SD 범위인 21。~58。를 태아심축의 정상범위로 간주하였을 때, 정상태아 205예중 7예(3.4%), 심장 및 흉부기형 태아 48예중 16예(33.3%)에서 비정상 심축을 보였다. 5. 이러한 태아심축의 정상범위를 이용한 태아 심축평가는 선천성 심질환 및 태아 흉부기형의 선별검사로서 민감도 33.3%, 특이도 96.6%, 양성 예측율 69.6%, 음성 예측율 86.1%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태아의 심축측정은 태아의 선천성 심장질환의 선별검사로서 유용한 four-chamber view에 추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일 수 있으며 선천성 심장기형이나 흉부기형의 선별검사시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리라 기대된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possible role for fetal cardiac axis in prenatal screening of congenital cardiac or extracardiac intrathoracic anomaly. Introduction: The incidence of the congenital heart disease is reported to be 8 per 1000 live births. The congenital heart disease is the most common major anomaly in newborn, and significantly affects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Because about 90% of congenital heart disease occurs in fetus without risk factors, it is important to screen congenital heart disease in low risk patients for the congenital heart disease. Method: 48 cases of cardiac(38 cases) and extracardiac intrathoracic(10 cases) anomaly and 205 cases for control were evaluated for measurement of cardiac axis and analyzed by Student`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PC+ packages. Results: The mean cardiac axis of control group was 39.4。 (SD: 9.2。, range: 20。 ~ 65。), and in the lesion group it was 42.1。 (SD: 28.9。, range: -34。 ~ 127。). If we use mean cardiac axis±2SD of normal fetuses as a range of normal cardiac axis(21。 ~ 58。), 16/48(33.3%) of the congeital heart disease or extracardiac intrathoracic anomaly will be detected and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the fetal cardiac axis in screening cardiac or intrathoracic anomaly will be 96.6%, 69.6%, 86.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etal cardiac axis may be a useful parameter in screening fetal cardiac or extracardiac intrathoracic anomaly, and could be used clinically as a parameter for evaluation of the four-chamber view of the hea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