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大学≫是一篇论述修身齐家治国平天下思想的儒家经典, 相传为曾子所作, 实为秦汉时儒家作品, 是一部中国古代讨论教育理论的重要著作。经中国北宋时期程颢、程颐竭力尊崇, 南宋朱熹又作≪大学章句≫, 最终和≪中庸≫、≪论语≫、≪孟子≫并称“四书”。 宋、元以后, ≪大学≫成为学校官定的教科书和科举考试的必读书, 不仅对中国古代教育, 也对韩国的古代教育产生了极大的影响。本论文将探讨韩国经典国文诗歌-时调与≪大学≫之间的内在联系, 在传统思想的高度上重新赏析朝鲜王朝的经典古时调作品。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从清朝末期到中华民国时期, 金少芝留下了的将近3000多首汉诗。尽管如此, 他的诗集≪逸园诗稿≫在中国朝鲜人文学史上几乎没有被提及, 给朝鲜人文学留下了巨大的空白。 这篇文章把金少芝的汉诗世界与语言文化联系起来, 首先通过东西方比较, 了解其汉诗内在的认识, 叙述其背景理论。通过这样的方式, 更深刻地认识其语言文化。并以此为基础, 将其样态分为三个部分进行考察, 从而确立其语言文化理论。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2018년 한국에서 출판된 북한 소설 <단풍은 락엽이 아니다>는 남북한이 문학 교류를 통해 조선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 발표된 초기 대표작으로 김정은 시대북한 주민들의 사랑, 가족애, 우정 등을 다루고 있다. 작품은 부모님의 잘못된 사랑 속에서 자란 청년, 상대의 매력에 끌려 점차 사랑에 빠진 여성, 가족 내 웃음 넘치는 분위기를 통해 실패한 가정교육과 사랑 표현의 특징 및 변화, 향상된 생활수준 등을 보여주었다. 이는 북한 당국 및 내부 작가들이 세계와 소통하면서 함께 나아가고자 하는 의향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고 본다.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중국어와 한국어는 모두 동격 구성이 있지만 서로 분석하는 방법이 다르다. 본 논문은 중·한 동격구성의 연구 현황을 전체적으로 총결하는 목적이 있다. 먼저 중·한 동격구성의 정의를 소개한 후 동격의 구성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각 학자들의 연구방법에 따라 중·한 동격구성의 유형 분류 기준을 다시 정리하고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한 학자들의 서로 분석 시각을 넓히고자 한다.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가상 위치 이동은 특수의 위치 이동 방식의 하나로 일반 위치 이동과 다른 특징을지고 있다. 그러나 가상 위치 이동 내부에 다양한 위치 이동 유형이 포함한다. 그 중에 연장(延伸) 성질의 가상 위치 이동은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연장 성질의 가상 위치 이동은 어느 언어에만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 언어의 보편적 언어범주에 속한다. 다른 언어의 소유자가 연장 성질의 가상 위치 이동을 가공(加工) 및 처리하여 다양한 언어 형식으로 표현된다. 본고는 주로 중한 두 언어의 연장 상질의 가상이동을 분석하도록 한다. 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언어 표현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조 및 분석한다. 또한, 인지언어학과 언어유형론을 바탕으로 두 언어가 나타나는 유사점 및 차이점을 간단하게 해석하도록 한다.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句子是由表示客观事实的“命题”和表示话者主观意愿的“情态”两部分组成,这已是语法研究的共识。情态动词(情态助动词)作为一种能够有效地表达情态意义,并且能促进人际沟通和交流的词类,在韩国语和汉语语法中也存在着异同之处。对此,语言学家对其意义和功能进行了长期的研究。本文以语言学领域的情态理论为基础, 围绕着韩汉语中常用的表示“可能性”的情态动词进行了个体的语义及对比研究。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The gender-based vocabulary refers to the vocabulary used for the evaluation of people. The metaphorical vocabulary,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gender-based vocabulary, has the potential to make the evaluation vivid and impressive. This study takes a corpus-based approach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rules and the using mechanism of the metaphorical vocabulary in the Korean gender-based vocabulary. It finds that the metaphorical vocabulary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gender-based vocabulary in Korean, thus becoming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Korean gender-based vocabulary. The metaphorical vocabulary in Korean mainly consists of words and clause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words are formed through derivation, while the largest proportion of clauses take the form of nouns being modified by the combined use of articles and adjectiv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gh frequency of metaphorical vocabulary in Korean is a joint result of the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The high productivity of derived words and clauses consisting of articles and adjectives can, to a large extent, be attributed to the inherent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为提高韩语词汇能力, 不仅需要教授单一的词汇, 还有必要教授词汇之间的句法、语用和语言外的知识。本文的研究目的在于利用连语、习语、话语标记语等多词单位来提高韩语的词汇能力, 并为此提出多词单位的教学方案。外语学习者若像母语话者那样学习和熟记多种多词单位, 将会更有效地提高语言交流能力。本文考察多词单位的结构、教学原理和教学策略, 并提出在韩语教学中如何利用多词单位进行词汇教学的方法, 以提高韩语词汇能力。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The middle 'ㅅ' as the unified form of the 'middle voice' in Korean language 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Korean language orthography. There is no doubt that correct understanding and use of 'middle 'ㅅ' has important significa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cientific spelling system. Although the 'middle ㅅ' first appeared in 'Hun-min-jeong-um' and it continues to be used today, the notation is too complicated for everyday use.
Since the invention of 'Hun-min-jeong-um', the 'middle ㅅ' has been strictly written according to the spelling rules of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However, in the 16th century, as spelling rules gradually collapsed, the 'middle ㅅ'also fell into confusion. It is thought to be the reason of the confusion in related notation nowadays.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the 'middle ㅅ' in 'Hun-mong-ja-hoe', and compares it with the use of 'middle ㅅ' in 'Yong-bi-eo-cheon-ga', which reflects the writing norm of Hangul to researc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middle ㅅ' and the intrinsic factors in diachronic view.
In closing, all of it aim to provide a wide reference to the clarific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use of 'middle ㅅ'.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1990년대 초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미국이 다국적군의 형식으로 이라크에 대한 걸프전을 치렀다. 노태우 정부는 미국의 파병 요청을 받고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의료지원대와 공군 수송부대의 다국적군 파견의 결정을 했다. 베트남 파병에 이어 두 번째 해외 파병이며 국제사회의 군사행동에 적극 동참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파병을 통해 한국의 외교 공간을 넓히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였으며, 객관적으로 유엔 가입을 추진함으로써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역할이 한층 강화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