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50년까지 전지구적으로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사회로의 전환을 강조함에 따라 한국, 일본, 유럽 등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였다. 농업분야는 탄소 흡수가 가능한 분야이며, 2021년 11월 영국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6)에서 기후변화 논의를 위한 농업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그 중요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사업은 국내 상황을 고려한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사업 프로그램 이행에 대한 효과나 근거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농업 현장에서의 적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 설계, 시행 및 모니터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기존 정책의 현황을 이해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기 위한 선험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분야에서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정책 현황 진단 및 정책 추진의 방해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반구조화 인터뷰 방식을 적용해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검토하는 것이다. 반구조화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본 연구는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추진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데이터 및 기술, 금융, 제도 및 인식의 4가지 유형에 따라 제시하였다. 또한 일부 이해관계자들은 기술의 데이터 확보, 효과 검증을 위한 체계를 마련, 인센티브 지급 및 홍보 등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시범사업 추진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기보다는 온실가스 감축정책 추진 현황을 진단하고 검토하는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가지며, 향후 면접 응답자를 충분히 확보하고 그룹별 표본 수를 균형 있게 조정하여 추가 분석을 실시한다면 본 연구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emphasized th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globally by 2050, major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and Europe declared carbon-neutral goals. The agricultural sector is a carbon-absorbing sector, and its importance has increased as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arties to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COP 26) held in the UK in November 2021 emphasized the role of agriculture to discuss climate change. However, GHG reduction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re not properly monitored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and a system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r basis of implementing the project program is not in place. Therefore, a priori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xisting policies and to review matter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facilitate policy design,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for GHG reduc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by apply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GHG reduction policy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identify factors that hinder policy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this study presented factors that hinder the promotion of GHG reduction polic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ccording to four types of data and technology, finance, institutions, and perceptions. Some stakeholders also stressed that the pilot project could be helpful as a wa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ch as securing technology data, establishing a system for verifying effectiveness, and providing incentives and promoting them. Rather than drawing specific conclusion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diagnoses and reviews the progress of GHG reduction policies, and it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if it secures enough interview respondents and balances the number of samples by group.